6월 소비자물가 9.1%↑…연준, 금리 0.75% 인상 압박 더 커져
1981년 12월 후 최대폭 상승…에너지·식품 제외 근원지수도 5.9%↑
유가·곡물가 안정세, 향후 긍정 영향 기대…코로나 재확산 등이 변수
보스톤코리아  2022-07-13, 11:26:34 
슈퍼마켓에서 가격표를 보고 있는 미국 소비자
슈퍼마켓에서 가격표를 보고 있는 미국 소비자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 미국의 물가가 전문가들의 예상보다 더 급격하게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보다 9.1% 올랐다.

이는 1981년 12월 이후 최대폭이었던 전월(8.6%)을 뛰어넘은 수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8.8%보다도 높다.

또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한 달 전인 5월에 비해 1.3% 올랐다. 지난 4월과 비교해 소비자물가지수가 1.0% 올랐던 5월보다도 상승 폭이 커진 것이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5.9%, 전월보다 0.7%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에 비해 6.0% 오른 전월의 근원 소비자물가지수에 비해서는 상승 폭이 둔화했지만, 전월 대비(0.6%) 수치는 꾸준히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난달 물가를 잡기 위해 자이언트 스텝(0.75%P 기준금리 인상)이라는 칼을 꺼내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강경한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WSJ은 연준이 이번 달에도 기준금리를 0.75%P 인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에서 두드러지게 가격이 오른 것은 1년 전에 비해 12.2% 오른 식료품이었다. 또한 주택 월세는 5.8%, 신차 가격은 11.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항공권 가격은 34%나 급등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최근 하향 안정 조짐을 보이는 유가와 곡물 등 상품 가격이 향후 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중순 갤런(약 3.8L)당 5달러를 넘어섰던 휘발유 평균 가격은 이날 4.63달러로 떨어졌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확산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글로벌 경제에 영향을 미칠 변수들이 많기 때문에 물가의 향방은 불투명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koman@yna.co.kr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선거 앞둔 바이든, 맨신의 반대 부분 수용해 BBB 통과시키자 2022.07.16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작년 1월 취임 후 역점을 두어 추진해온 '더 나은 재건(BBB) 법안' 처리가 갖은..
조 맨신 상원의원, 바이든표 BBB법안 또 한번 일격 2022.07.15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작년 1월 취임 후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더 나은 재건(BBB) 법안' 처리가 하염없..
6월 소비자물가 9.1%↑…연준, 금리 0.75% 인상 압박 더 커져 2022.07.13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 미국의 물가가 전문가들의 예상보다 더 급격하게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3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6월 소비자..
웹 우주망원경이 준 경이로운 선물 2022.07.12
(워싱턴=연합뉴스) 이상헌 특파원 = 인류 역사상 지금껏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우주 깊은 곳의 휘황찬란하고 신비로운 모습이 드디어 전 세계에 공개됐습니다.미..
상원 원내대표, 코로나 양성…미국 오미크론 하위변이 빠르게 확산 2022.07.11
(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 = 척 슈머 미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11일(현지시간) 슈머 원내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