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먼 브러더스 파산 1년 |
보스톤코리아 2009-09-17, 23:36:22 |
리먼 브러더스 사태 이후 1년 동안 주요 경제 지표가 어떻게 증가하거나 감소했는지를 살펴 보면 리먼 사태의 후폭풍을 짐직할 수 있게 한다. *S&P500 지수 -46% 리먼 브러더스 붕괴 이후 2009년 3월까지 미국 주요 기업들의 주식 가격을 반영하는 S&P 500지수는 46%나 곤두박질쳤다. 사실 위기는 리먼 브러더스 붕괴 이전부터 시작됐다. 2008년 초부터 경제는 위축되고 주가는 이미 내리막길을 걷고 있었다. 이때 리먼 브러더스가 무너지면서 주가는 걷잡을 수 없이 바닥으로 치달았다. 다행히 올해 초부터 증시는 빠른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자동차 판매량 -39.4% 자동차 업계에도 폭풍이 몰아쳤다. 지난해 5월부터 올해 5월 사이 미국 자동차 판매량은 39.4% 하락했다. GM과 크라이슬러가 파산 보호를 신청하는 등 자동차 업계는 고된 시련을 견뎌야 했다. 미국에서는 올해 연비가 좋은 새차를 구입하면 현금을 지원하는 제도 덕분에 자동차 업계가 모처럼 웃었으나 미래의 수요를 앞당긴 효과일 뿐이라는 평가도 있다. *공공/민간 투자 -24.9% 올해 2분기 유럽 지역 공공 및 민간 투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9%나 떨어졌다. 리먼 브러더스의 붕괴는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무너뜨렸다. 금융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투자 결정도 잇따라 보류됐다. 1년이 지난 현재 민간 투자는 여전히 위축된 상태다. *공포지수 3.1배 ‘공포 지수’로 불리는 빅스(Vix) 지수는 리먼 브러더스 붕괴 후 6주 만에 3.1배나 치솟았다. 빅스 지수는 시카고 선물옵션 거래소의 변동성 지수를 뜻하며, 뉴욕 증시의 변동성을 가늠하는 잣대로 쓰인다. 리먼 브러더스 파산 후 투자자들은 앞으로 어떤 일이 닥칠지 몰라 공황 상태에 빠졌고 주가 불안정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전세계 GDP -1.3%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전세계 GDP가 1.3%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공황 이후 전 세계 경제가 동시에 위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성일 jsi@bostonkorea.com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 ||||||
| ||||||


161 Harvard Avenue, Suite 4D, Allston, MA 02134
Tel. 617-254-4654 | Fax. 617-254-4210 | Email. editor@bostonkorea.com
Copyright(C) 2006-2018 by BostonKorea.com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and Managed by Loopivo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