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부 씨티그룹 국유화 검토 중
보스톤코리아  2009-02-26, 02:31:55 
미국 정부가 씨티그룹의 국유화 여부를 검토하면서 국유화가 씨티그룹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 정부는 현재 우선주 형태로 보유하고 있는 씨티그룹 지분을 보통주로 전환하는 방안을 씨티그룹과 협의 중이다.

우선주는 배당에 우선권을 갖는 대신 의결권이 없다. 보통주는 의결권이 있기 때문에 씨티그룹의 경영에 결정권을 갖게 된다. 현재 정부가 보통주 지분을 최대 40%까지 확보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 정부가 씨티그룹에 두 차례 공적 자금을 투입하면서 경영상의 각종 제약을 가한 상태이기 때문에 일상적인 경영에는 당장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 정부와 씨티그룹 이미 일부 사업 부문 매각에 합의했으며 이사회를 개편했고 배당금 지급을 축소했다. 경영진의 보수도 제한을 받고 있다. 전용기 이용과 같은 임직원에 대한 특별 대우도 금지되어 있는 상태다.

다만 미 정부는 씨티그룹에 대해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주택 압류를 줄이기 위한 모기지 조건 변경과 소비자 대출 확대를 유도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미 정부는 모기지 대출기관인 인디맥을 국유화한 뒤 모기지 조건 변경을 지시한 바 있다.

씨티그룹의 영업력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객들이 예금보호 한도가 25만 달러인 다른 은행보다 정부가 대주주로 있는 안전한 은행에 돈을 맡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경쟁 관계에 있는 금융 회사들은 벌써부터 씨티그룹에 대해 파생상품 거래 등 투자은행 업무와 해외 영업을 일부 제한해야 한다고 미국 정부에 요청하고 있는 상황. 월스트릿의 한 경영진은 “국영화된 씨티그룹이 막강한 자금력을 앞세워 씨티 보다 더 건전한 금융 회사들의 영업에 차질을 빚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오바마 정부는 아직까지 명시적으로 은행을 국유화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다. 미국 정부는 20대 은행 등 대규모 은행에 대해 지분을 늘려 국유화 하기 보다는 은행에 대한 규제와 감독 권한을 적극 행사하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정부의 소유 지분이 늘어나면서 정부가 직접 경영에 참여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미국 은행들의 재무 상태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미국에서 재무구조가 튼튼한 은행으로 유명한 JP모건체이스는 23일 배당금 지급을 대폭 삭감하겠다고 밝혔다.

정성일 기자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한인들 위한 정부 채용 기회 열렸다 2009.03.03
US Census, FBI 앞다퉈 한인 채용 공고 내놔
유학생 제외 MA주 한인 인구 2만 넘었다 2009.03.03
미 센서스국 지역인구 조사, 2000년 17,369에서 3천여명 늘어 최근 증가한 조기유학생 감안시 MA주 인구 3만명 넘어설 듯
하버드 김용 교수, 명문 다트머쓰 총장 임명 2009.03.03
한국인이 아시안계로는 최초로 미국의 명문 아이비리그 대학인 다트머쓰 칼리지(Dartmouth College)의 총장으로 임명됐다. 다트머쓰 칼리지 이사회는 3월..
미 정부 씨티그룹 국유화 검토 중 2009.02.26
국유화 되어도 당장 큰 변화 없을 듯
AIG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 손실 예상 2009.02.26
600억 달러 손실 전망 속 국유화 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