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고용증가 27만2천명으로 반등…금리인하 기대 후퇴
전망치 큰 폭 웃돌며 '뜨거운 고용' 지속 시사
채권금리↑·주가↓…9월 금리인하 기대 약화
보스톤코리아  2024-06-07, 21:56:34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미국의 신규 일자리가 5월 들어 예상 수준을 넘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을 압박하는 '뜨거운 노동시장' 상황이 좀처럼 식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는 지표가 나옴에 따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인하에 신중한 자세를 지속할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을 전망이다.

미 노동부는 5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27만2천명 늘었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19만명을 큰 폭으로 웃도는 수치다. 직전 12개월간 평균 증가폭(23만2천명)도 웃돌았다.

업종별로는 의료(6만8천명), 정부부문(4만3천명), 여가접객(4만2천명) 등 일부 업종의 취업자 수 증가가 전체 고용 증가를 이끌었다.

실업률은 4.0%로 4월(3.9%)보다 올랐으며 전문가 예상치(3.9%)도 웃돌았다. 5월 실업률은 2022년 1월(4.0%) 이후 2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도 전월 대비 0.4%로 시장 전망(0.3%)을 웃돌았다. 1년 전과 비교한 평균임금 상승률은 4.1%로 역시 전망치(3.9%)보다 높았다.

앞서 미국의 고용 증가폭은 지난 4월 들어 16만5천명(수정치 기준)으로 1∼3월 대비 크게 줄면서 노동시장 과열이 냉각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기대를 높인 바 있다.

연준은 기준금리 인하에 앞서 인플레이션 둔화세 지속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선 노동시장 과열 완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되풀이해 강조해왔다.

뜨거운 고용시장 지속은 연준이 금리인하에 좀 더 신중한 입장을 취할 것이란 예상에 힘을 실을 전망이다.

이날 고용지표 발표 후 미 채권시장 수익률은 급등하고, 주가지수 선물은 하락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미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42%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13bp(1bp=0.01%포인트) 올랐다.

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주가지수 선물은 오전 9시 기준 전장 대비 0.5% 하락하며 약세로 전환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이날 고용지표 발표 직후 연준이 9월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5.25∼5.50%로 동결할 확률을 46%로 반영했다. 이는 전날의 31%에서 크게 오른 수치다.

또한 7월 금리 동결 확률은 전날 78%에서 오른 91%로 반영했다.

모하메드 엘-에리언 알리안츠그룹 고문은 "연준은 통화정책 전망에 우려를 키울 것이고 7월 금리인하를 선택지에서 내려놓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테슬라 중고차 가격 작년보다 29% 하락…2천만원대 판매 2024.06.09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미국 중고차 시장에서 테슬라가 전체 자동차 브랜드 중 가격 하락이 가장 큰 브랜드로 나타났다고 미 경제매체 CNBC가..
[뉴욕증시-주간전망] 연준, 물가 보고서와 애플 2024.06.09
(뉴욕=연합뉴스) 임하람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이번 주(6월 10일~6월 14일)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
5월 고용증가 27만2천명으로 반등…금리인하 기대 후퇴 2024.06.07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미국의 신규 일자리가 5월 들어 예상 수준을 넘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물가 상승을 압박하는 '뜨거운 노동..
뉴욕증시, 강한 고용에 '금리인하 작별' 경고까지…다우 0.2%↓마감 2024.06.07
(뉴욕=연합뉴스) 정선영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탄탄한 5월 비농업 고용지표 여파에 3대 지수 모두 하락했다.유럽중앙은행(ECB) 금리인하에 이어 미국..
공짜호화여행, 거액인세, 무료공연티켓…美대법관들의 선물목록 2024.06.07
(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 = 일부 인사들의 '공짜 여행' 논란 끝에 별도 윤리 강령까지 제정한 연방 대법관들의 재산 내역이 7일(현지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