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들과 자원봉사하기 좋은 11곳
보스톤코리아  2016-03-17, 23:38:24 
(보스톤 = 보스톤코리아) 한새벽 기자 = 가끔씩 보스톤코리아 닷컴의 Q&A 게시판에는 자원봉사하기 좋은 곳을 찾는 글이 올라오곤 한다. 자원봉사는 아이들의 자존감(self-esteem )과 공감능력(empathy), 동정(compassion), 그리고 감사(gratitude)를 가르치는 최고의 방법 중 하나다. 

다행스럽게도 보스톤 지역에는 가족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풍부한 봉사 지구가 있다. 여러 곳의 자원봉사처를 찾아보고 가족과 자녀들에게 가장 알맞은 것을 찾아 봉사해보자. 자원봉사를 통해서 또다른 자원봉사자들을 만나 소통할 수 있으며 가족들간의 이야기 거리도 만들 수 있다. 또한 가족간의 따뜻한 유대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상을 좀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보스톤 매거진이 소개하는 좋은 자원봉사 단체 11곳을 알아보도록 하자. 

크레들투크레욘(CRADLES TO CRAYONS)
보스톤코리아가 소재한 올스톤에서 차로 약 5분 거리에 있는 브라이튼 소재 창고이며 도움을 주는 공장이다. 자원 봉사자들은 기부된 옷과 장난감, 책, 문구류, 신발 및 기타 필수품들을 검사하고 분류하고 이를 다시 포장한다. 이 물품들은 홈리스와 저소득층 자녀들에게 전달된다. 
크레들투그레욘 자원봉사에 참여한 봉사자들
크레들투그레욘 자원봉사에 참여한 봉사자들
 
5세 이상의 자녀들을 위해 자원봉사를 하거나 자신의 물품을 브라이튼 소재 크레들투크레욘 또는 주내 40개 드롭오프 장소에 기부할 수 있다. 2시간의 교대근무에 자원봉사를 원하는 경우 웹사이트(cradlestocrayons.or-g/boston/volunteer )를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주말이나 방과 후로 정해서 봉사하면 된다. 또는 가족인류봉사 코디네이터인 메간 콜린스([email protected])에게 연락해도 된다. 드롭오프 장소 또한 같은 웹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프로젝트기빙키즈(PROJECT GIVING KIDS)
프로젝트기빙키즈(Project Giving Kids)는 수십개의 보스톤 지역 자원봉사단체의 온라인 자료를 보유해 가족들과 주요 지역에서의 자원봉사 활동을 연결한다. 주로 환경보호 활동, 기아 해결, 동물 돕기, 노인 보조, 미군 돕기 등의 활동을 한다. 대부분의 활동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나이의 자녀들이 할 수 있다. 웹사이트(projectgivingkids.org)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을 수 있다. 

보스톤하버아일랜드(Stewardship Saturdays BOSTON HARBOR ISLANDS)
환경에 관심이 있는 가족은 보스톤 하버의 스투어드십 세터데이(Stewardship Saturdays)의 연중시민 과학자가 될 수 있다. 이 자원봉사는 보스톤 하버 아일랜드파크에서 주요 서식지 복원, 자료 수집, 전통 작물 심기 등의 프로젝트를 할 수 있다. 웹사이트(bostonharborislands.org)에서 등록하거나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앤드류 패팃(Andrew Petit, 617-223-8106)에게 질문하면 된다. 

그레이터 보스톤 푸드뱅크(GREATER BOSTON FOOD BANK)
10살 이상의 자녀를 둔 가족은 한달에 3번 키즈후케어(Kids Who Care)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주내 최대 기아문제 해결 조직인 그레이터보스톤푸드뱅크가 운영한다. 자원봉사자들은 매사추세츠 동부 지역의 굶주림 상태에 대해서 배우게 되고 노인이나 참전용사들에게 배달될 식료품을 브라운 백에 담는 활동을 하게 된다. 이 프로그램은 보스톤 소재 가족들에게 접근이 편한 배분센터에서 만날 수 있다. 웹사이트(gbfb.org/volunteer )를 통해 접수할 수 있다. 
자원봉사자 레리 워킨스가 자메이카 플레인 소재 커뮤니티 서빙에서 음식을 준비하고 있다
자원봉사자 레리 워킨스가 자메이카 플레인 소재 커뮤니티 서빙에서 음식을 준비하고 있다
 
버스데이 위시스(BIRTHDAY WISHES)
뉴튼 소재 비영리단체 버스데이위시스는 올해 3만4천명의 홈리스 아동들에게 생일잔치를 벌였다.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영역도 많다. 기부할 선물가방(goody bags)을 만들 수도 있다. 선물이나 파티 용품을 위한 기부모금 활동을 주최할 수 도 있다. 또는 나이, 성별과 주제에 맞게 생일 박스들을 만들 수 있다. 생일 박스를 운반하는 자원봉사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1년 정도의 자원봉사를 하고 난 후에는 트레이닝을 거쳐 쉼터에서 생일파티를 주최할 수 있다. 웹사이트 birthdaywishes.org를 방문하면 된다. 

스프레드더브레드(SPREAD THE BREAD)
이 비영리단체는 웨일랜드에 위치해 있다. 자원봉사 가족은 각자 가정에서 빵을 굽고 이를 포장해서 자신들이 선택한 공직 봉사자 즉 경찰, 소방관, 참전용사, 그리고 노인들에게 전달한다. 가족들은 원하는 아무 빵이나 구울 수 있다. 비영리단체의 창시자 케런 키퍼는 웹사이트에 자신의 엄마로부터 배운 아일랜드 식 빵굽기 레시피를 공개했다. 웹사이트는 spreadthebread.org 이다. 

게이닝그라운드(GAINING GROUND)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콘코드 소재 유기농 농장은 식사배급, 쉼터 그리고 음식배급 기관들을 위한 채소를 생산해 낸다. 4월부터 10월까지 5살 이상의 자녀와 가족은 잡초제거, 씨뿌리기, 거름주기, 물뿌리기, 그리고 기타 농장일을 자원봉사할 수 있다. 임무는 화요일부터 토요일 10시부터 12시 그리고 1시부터 3시까지다. 웹사이트 gainingground.org.이며 자원봉사자 코디네이터인 케이레이 보일에게 연락하면 된다. 
4월부터 10월까지 5세이상의 자녀와 가족이 자원 봉사에 참여할 수 있는 게이닝그라운드
4월부터 10월까지 5세이상의 자녀와 가족이 자원 봉사에 참여할 수 있는 게이닝그라운드
 
헤딩 홈(HEADING HOME)
보스톤 지역 홈리스를 돕고 변호하는 찰스타운 소재 단체 헤딩홈을 돕기 위한 자원봉사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가족들은 쉼터에서 행해지는 생일파티를 스폰서할 수 있다. 쉼터를 가꾸기 위한 가벼운 조경작업을 할 수 있으며 가구를 조립하거나, 기부할 수있다. 웹사이트는 headinghomeinc.org이다. 
보스톤 지역 홈리스를 돕고 있는 헤딩 홈 봉사자들
보스톤 지역 홈리스를 돕고 있는 헤딩 홈 봉사자들
 
힙 풀링파트터(HIP PULLING PARTNERS)
해비타트인터제너레이션프로그램(The Habitat Intergenerational Program) 또는 힙(HIP)은 가족들을 벨몬트 소재 해비타트 와이드라이프 생춰리에서 나무심기, 트레일 보수작업, 염소돌보기 등의 일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풀링파트터 그룹은 학기동안 매주 수요일 2시 30분부터 4시 30분까지, 그리고 방학 및 휴일에는 오전 10시에서 12시까지 만난다. 모든 연령대 자녀들이 가능하며 미리 등록할 필요도 없다. 날씨 관련 취소 여부는 617-489-5050으로 문의하면된다. 또는 이메일 문의도 가능하다.  [email protected]
 
커뮤니티 쿡스(COMMUNITY COOKS)
서머빌 소재 커뮤니티 쿡스는 충분히 식사를 하지 못하는 개인이나 가족을 돕는 단체다. 자원봉사를 원하는 가족은 최소한 4달 일할 수 있어야 한다. 자원봉사자들은 집에서 스낵 팩을 준비하거나 일부 음식을 만들어 그룹의 중앙 배부처 또는 드롭오프 장소에 배달한다. 이 음식들은 지역 고객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에이전스에게 전달된다. 참가자들은 4개월동안 한 달에 한 번씩 한 음식 종류를 위한 식료품을 구입해 요리를 해야 한다. 문의처는 웹사이트 communitycooks.org, 또는 이메일은 [email protected] 다. 

커뮤니티 서빙스(COMMUNITY SERVINGS)
자메이카 플레인 소재 이 단체는 매일 만성 및 중환자들을 위한 2천개의 식사를 준비한다. 13세 이상의 자녀를 둔 가족이 참여해서 음식을 준비하거나 포장 그리고 배달하는 자원봉사를 하게 된다. 오전은 9시부터 12시까지, 오후에는 1시부터 4시까지 준비한다.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근무할 수 있다. 어린 자녀를둔 가족은 토요일 식사 배달에 참여하는 6개월 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케이트 화이트([email protected])에게 이메일을 보내거나 617-522-7777로 전화해 가입 신청을 할 수 있다.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왜? 내 집만 안 팔려요? 2016.03.21
백영주의 부동산 따라잡기
난민보트 출신 유학생이 주정부 아시안 최고위직 되기까지 2016.03.17
매사추세츠 남팜 경영개발부 차관의 성공 비결 장기적인 비전과 인간관계에 대한 투자로 일궈 청소, 세차 등 막일에서 출발, 케네디스쿨 졸업
보스톤 한인회 “총회 한번 다르게 해보자” 2016.03.17
보스톤 한인회 총회 26일 저녁 5시
자녀들과 자원봉사하기 좋은 11곳 2016.03.17
당신으로 인해 세상은 조금더 살만해지고 있습니다. 자녀들과 연대를 강화하고 공감능력을 배가시켜줄 수 있는 기회
MBTA 적자 해소와 노후 시설 교체 목표 2016.03.17
20억 달러 이상의 새 예산안 발표 지금까지 미뤄왔던 노후 시설 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