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보 1호 숭례문 화재로 전소
보스톤코리아  2008-02-18, 10:58:08 
화재진압 책임 및 복원계획으로 갈등 빚어


대한민국 국보 1호 숭례문이 화재로 사라졌다. 한국시간 10일 오후 8시46분께 발생한 화재는 숭례문의 2층에서 시작돼 3층까지 번졌다. 불은 한때 잦아지는 듯했으나 자정을 넘으면서 3층 내부에서 다시 시뻘건 불길이 치솟아 불길이 지붕을 뚫고 전체로 번졌다.

화재가 발생하자 숭례문에 소방차 30여 대와 소방관 80여 명이 투입돼 진화 작업에 나섰다. 그러나 숭례문의 역사적 가치를 보전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소방관들은 화재작업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게다가 숭례문의 독특한 구조는 불길을 잡기 힘들게 만들었다. 숭례문은 건축구조상 2층과 3층 내부에 물이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있어, 물을 뿌려도 물이 건물 속으로 잘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있다. 한 소방관은 "한옥의 구조적 특성상 지붕을 뜯어내지 않으면 불을 끌 수 없는 상태"였다고 진화작업의 어려움을 전했다.

결국, 화재 발생 4시간 후 기와가 불에 타 흘러내리기 시작했고, 가까스로 불길을 잡을 수 있게 됐다. 그러나 그때는 이미 건물의 목조부분이 모두 탄 뒤였고, 2층과 3층 목조부분은 11일 오전 1시경 서서히 무너져 내려 돌 받침대만 남기고 모두 붕괴했다.

▲ 방화범 잡혔으나 여전히 책임 떠넘기는 정부 기관들
이번 화재사건은 사회에 불만을 품은 한 노년 남성의 방화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은 화재 직후 "60대로 보이는 남성이 화재 직전 숭례문 계단을 올라갔다"는 목격자의 진술을 단서로 문화재 방화 전과자 3명을 추적했다. 결국, 경찰 합동수사본부는 숭례문 방화 용의자로 70살 채모 씨를 인천 강화군의 자기 집에서 붙잡았다. 채종기 씨의 집에서는 범행에 쓰고 남은 것으로 보이는 시너 6ℓ와 알루미늄 사다리가 발견됐다.

채씨는 이런 극단적인 행동을 한 이유가 토지보상금 때문이었다고 주장했다. 6년 전 경기도 일산의 채 씨 소유의 땅이 아파트 부지에 포함됐지만, 그 땅에 대한 보상금은 그의 기대만큼 많지 않았다. 채씨는 시청 등 관계 기관에 진정을 내고, 청와대에 편지를 보내며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결국 법원 결정으로 집은 철거됐다. 불만이 쌓인 채씨는 한 달 뒤 창경궁 문정전 출입문에 불을 질렀고, 이에 법원은 그에게 징역 1년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고 벌금으로 1,300만 원을 추징했다. 결국, 채씨는 자신의 억울함과 분노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숭례문 방화를 계획했다.

숭례문 방화범에 대한 구속은 신속하게 이뤄졌지만, 이번 화재의 근본 원인과 이에 따른 책임을 묻기에는 시간이 상당히 걸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숭례문 관리와 화재 진압과 관련된 세 기관이 서로 책임 떠넘기기 공방을 벌이고 있다. 숭례문 화재 진압을 책임지고 있는 소방방재청, 평시 숭례문 관리 책임이 있는 서울 중구청, 두 기관을 지도·감독·지원하는 문화재청은 화재 진압 시점과 화재 진압 방법, 숭례문 관리 책임 등을 놓고 서로 비판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소방당국에 화재발생 1시간 만에 지붕을 뜯어서라도 진화를 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소방방재청은 문화재청이 화재 발생 후 3시간이 지나서야 지붕을 뜯어도 된다고 허락하는 바람에 불을 제때 끄지 못했다고 맞서고 있다.


▲숭례문은 복구해도 그 역사적 가치는 사라져
1398년 조선의 수도 한양의 도성 정문으로 창건된 숭례문의 610년 역사는 이 날 화재로 말미암아 5시간 만에 한 줌 잿더미처럼 허무하게 사라져버리게 되었다. 화재 발생 하루 만인 지난 11일 문화재청은 "긴급 문화재위원회를 열고 정밀 실측도면을 토대로 숭례문을 복원하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오늘날의 기술력으로 숭례문을 복원하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그 역사적 가치까지 복원하는 것은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조선시대 석축에 21세기 목재 누각이 결합될 새로운 숭례문을 여전히 국보로 삼아야 할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이에 정재훈 문화재위원은 "과연 숭례문의 몇% 정도가 피해를 입었는지를 정교하게 확인한 뒤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로 볼 수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 판단해 국보 해제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인수위 전체회의에서 화재로 전소한 숭례문을 "우리 국민 모두가 십시일반 모은 국민성금으로 복원하자"고 12일 제안했다.

그러나 이 당선인의 발언에 대해 여론은 우호적이지 않았다. 네티즌들은 국가가 책임을 떠 넘기려 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으며, 심지어 '국민성금 반대 청원'이 인터넷을 통해 퍼져나가고 있다. 이 당선인의 발언 이후 자발적이었던 모금행태마저 사라질 위험이 생긴 것. 이에 통합신당 우상호 의원은  "(이 당선인과 인수위의) 취지는 충분히 이해하나 자발적 모금은 언론사나 시민단체에 맡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진혁  [email protected]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재정적자 낸 RI주 불법이민자 탓 2008.02.18
불법이민자 정부혜택 안돼, 고용도 강력 단속 심한 재정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로드 아일랜드가 이에 대한 화살을 불법이민자들에게 겨누고 있어 논란을 낳고..
H-1B Visa I 2008.02.18
H-1B Visa  시즌이 곧 시작됩니다. 어디까지나 예상이지만 거의 모든 관련 매체들이 올해도 작년과 비슷한 현상(신청접수 첫날 쿼타보다 많은..
포스트 슈퍼 화요일, 승자는 누구 2008.02.18
미 공화당에서는 존 매케인 후보가 차기 대통령 후보로 당선이 확실시된 가운데, 민주당에서는 슈퍼 화요일 이후 버락 오바마 후보의 무서운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국보 1호 숭례문 화재로 전소 2008.02.18
화재진압 책임 및 복원계획으로 갈등 빚어 대한민국 국보 1호 숭례문이 화재로 사라졌다. 한국시간 10일 오후 8시46분께 발생한 화재는 숭례문의 2층에서..
나는 얼마나 받나? 2008.02.18
개인당 최고 600불 경기 부양안 서명 부시 대통령이 13일 1천6백 80억달러($152billion) 규모의 경기부양안에 서명함에 따라 2007년 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