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머니 사정에 샴푸·샤워젤 안 사는 프랑스인들 |
여론조사서 9% 샴푸 안 사, 8%는 치약·샤워젤 포기 32% 빨래 횟수 줄이고 21% 세탁 세제 안 쓰거나 줄여 |
?????? 2025-04-14, 07:31:04 |
(파리=연합뉴스) 송진원 특파원 = 프랑스 국민의 절반은 한 달 생활비 부족을 우려해 샴푸나 샤워젤 등 위생용품 소비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현지시간) 여론조사기관 IFOP에 따르면 프랑스인의 49%는 한 달 생활비가 바닥날까 걱정한다고 응답했으며, 41%는 빈곤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불안을 드러냈다. 21%는 식량 구입을 위해 자선 단체에 의지해야 할 수도 있다고 답했다.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경제적 불안이 정점에 달한 지난해 조사 결과에 비하면 다소 나아졌지만 여전히 주머니 사정에 대한 우려가 큰 셈이다. 생활비 부족 우려는 위생용품 소비 감소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7%는 현재의 경제 상황이 위생용품 소비를 제한하거나 줄이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17%는 식료품과 위생용품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포기한 품목은 단연 외모를 꾸미는 데 필요한 화장품이다. 주로 메이크업 제품(여성의 33%), 염색약(여성의 27%), 보습 제품(24%) 등을 포기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상당수의 프랑스 여성은 화장(37%)이나 염색(36%)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위생용품을 포기하는 이도 적지 않다. 프랑스인 10명 중 1명이 기본적인 위생용품 구매를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9%는 샴푸를 안 산다고 답했고, 8%는 치약이나 샤워젤을 포기했다. 생활 습관도 바뀌고 있다. 응답자의 24%는 칫솔을 자주 교체하지 않기로 했으며, 22%는 화장실 휴지를 아껴 쓴다고 답했다. 15%는 원하는 만큼 자주 머리를 감지 않는다고 말했다. 침구와 옷의 청결에도 영향을 미친다. 32%는 세탁 횟수를 줄이기 위해 옷을 더 오래 입는다고 답했고, 21%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세제량을 줄인다고 했다. IFOP은 "경제적 취약성과 위생 빈곤 지표가 작년보다 약간 개선되긴 했으나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했다"며 "특히 위생 빈곤은 더는 한정된 취약 계층의 문제가 아니라 청년 등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런 위기가 구조화하는 걸 막기 위해 필수 제품에 대한 접근을 사회적 포용 수단으로 재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14∼20일 프랑스 성인 4천3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
![]() |
![]() |
![]() |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 |
|


161 Harvard Avenue, Suite 4D, Allston, MA 02134
Tel. 617-254-4654 | Fax. 617-254-4210 |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C) 2006-2018 by BostonKorea.com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and Managed by Loopivo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