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미국서 생산? "허구적 이야기…가격 3배 500만원 될 것"
댄 아이브스 , 아시아에 구축된 복잡한 생태계 재현해야
??????  2025-04-09, 14:47:30 
애플 로고
애플 로고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했다가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는 90일간 유예를 발표한 가운데 아이폰이 미국에서 생산될 경우 가격이 현재의 3배 이상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의 유명 분석가인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 글로벌 기술 리서치 책임자는 9일(현지시간) CNN과의 인터뷰에서 아이폰이 미국에서 생산될 경우 가격이 약 3천500달러(512만원)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앞서 지난 8일 캐롤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이 아이폰 생산을 미국으로 옮길 수 있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아이브스 분석가는 이에 대해 "허구적인 이야기"라며 아이폰의 미국 내 생산은 실현되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에서 생산된 아이폰은 현재 약 1천 달러인 가격의 3배가 넘을 수 있다"며 "이는 현재 아시아에 구축된 매우 복잡한 생산 생태계를 미국에서 그대로 재현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급망을) 미국에서, 예를 들어 웨스트버지니아나 뉴저지에 반도체 공장을 세운다면 그건 3천500달러짜리 아이폰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애플이 전체 공급망 중 단 10%만 미국으로 이전하더라도 약 300억 달러와 3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앞서 낸 보고서에서도 "미국 소비자에게 1천달러짜리 아이폰이 세계 최고 수준의 소비재라는 현실은 사라질 것"이라며 "미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한다는 것은 현재 1천달러 가격으로는 말이 안되고 급격하게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공급망이 그대로 유지되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발표한 상호관세가 적용된다면 아이폰 가격은 크게 오를 것으로 월가는 보고 있다.

투자은행 로젠블렛 증권은 애플이 높은 관세 비용을 소비자에게 모두 전가할 경우 아이폰 가격이 43% 상승할 수 있다고 봤고, 시장조사 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부사장 닐 샤는 생산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하면서도 약 30% 오를 수 있다고 추산했다.

CNN은 애플이 이미 중국 이외 생산 기지로 인도와 브라질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관세 장벽이 낮은 국가로 핵심 부품 생산을 이전해 아이폰 가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선 상호관세 90일 유예를 발표했지만, 당초 발표된 상호관세는 인도가 26%였고, 브라질은 10%로 가장 낮았다.

다만, 이들 국가는 중국을 대체할 만큼의 생산 능력을 갖추진 못했다고 닐 샤 부사장은 지적했다.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4%로 예상밖 둔화…4년만에 최저 2025.04.10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있던 지난 3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예상 밖으로 크게 둔화한 것으로 나타..
추방된 베네수 불법이민자 90%는 범죄기록 없어 < 블룸버그 > 2025.04.09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갱단 소속 범죄자라며 엘살바도르 교정시설로 추방한 베네수엘라 출신 이민자 200여명 중 9..
아이폰 미국서 생산? "허구적 이야기…가격 3배 500만원 될 것" 2025.04.09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했다가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는 90일간 유예를 발표한..
이민국, 이민 서류 심사에 소셜미디어 검사 반영 공식화 2025.04.09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이민서비스국(USCIS)이 4월 8일부터 외국인의 소셜미디어상 활동을 이민 혜택 심사에 반영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영주권 신청자..
중국, 트럼프 104% 관세 맞불…"모든 미국 상품에 추가관세 84%" 2025.04.09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추가 104%의 '관세 폭탄'을 위협하자 중국도 9일 즉각 '전방위 비례 대응 보복'에 나섰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