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04% 관세에도…"끝까지 싸운다" 시진핑 믿는 구석은 |
인플레 여론악화·지지기반 틱톡 유저·최측근 기업 테슬라 미국 내 소비자물가 오르고 고용 감소할 때가 협상의 적기 |
?????? 2025-04-08, 22:51:14 |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투하한 상호관세 '폭탄'에 정면대응을 택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후 중국에 이른바 '10% + 10%'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이달 9일(현지시간)부터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도 3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맞불을 놓자 트럼프 대통령은 조치를 철회하지 않으면 관세를 50% 더 추가하겠다고 위협했다. 합쳐서 104%에 달하는 관세 위협에도 중국은 굴하지 않고 "미국이 고집대로 한다면 반드시 끝까지 맞설 것"이라고 다시 응수했다. 8일(현지시간)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은 왜 트럼프와의 관세 전쟁에서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중국이 항전을 택한 이유를 크게 세 가지로 분석했다. 우선, 중국은 미국이 관세로 초래되는 인플레이션과 그에 따른 경제적 불만을 감당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 현재 미국이 중국에서 들여오는 수입품 중에는 원자재, 중간재뿐 아니라 의류·가정용품·장난감 등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비재가 다수 포진돼 있다. 따라서 관세로 인해 이들 제품 가격이 크게 오를 경우 소비자들은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중국의 고위 고문이나 정부 연구원, 경제학자들은 소비자 물가가 상승하거나 고용이 감소하기 시작할 때가 트럼프 대통령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 가장 쉬운 시기라고 지적한다. 일단 때를 기다리며 트럼프 대통령이 궁지에 몰리는 시기를 지켜보자는 전략인 셈이다.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사업지분 문제 역시 중국 측에 유리한 협상 카드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지난해 4월 미국 의회는 틱톡의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인 개인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하는 등 국가안보를 위협할 우려가 있다며 이른바 '틱톡 금지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기한 안에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사업을 금지하는 내용으로 당초 지난 1월 19일 시행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법 시행을 연기하고 틱톡의 미국 사업을 미국 법인이 확보하도록 하는 협상을 시도하고 있다. 대선 때 청년층 공략에 '틱톡 효과'를 크게 본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틱톡이 미국 내에서 금지되는 상황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은 상호관세 조치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안을 거부하며 이 문제를 협상의 지렛대로 삼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바이트댄스 측은 백악관에 중국 정부가 미국과 무역 및 관세에 대해 협상할 수 있을 때까지 틱톡에 대한 거래를 승인하지 않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 밖에 트럼프 대통령이 측근 일론 머스크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의 중국 사업 규모가 회사 전체의 5분의 1에 달하기 때문에 그가 중국에 대한 관세 완화를 설득하려 할 수 있단 분석이다. 실제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책사'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과 공개 비난하며 이번 관세 조치에 부정적 견해를 드러냈다. 다만 머스크가 직접 나서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 정책을 만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후문도 미국 언론을 통해 전해진 바 있다. 중국이 이번 관세 전쟁에서 일부 유리한 지형을 확보하고는 있지만, 타격 역시 상당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특히 미국의 인플레이션 촉발로 소비가 위축되고 경기가 둔화하면 중국 산업과 공급망 역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코노미스트는 "무역 전쟁이 격화한다는 것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중국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짚었다. 이어 "시 주석은 중국 경제를 미국과 경제적으로 완전한 결별(디커플링)을 단행할 의향이 있는지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
![]() |
![]() |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 |
|


161 Harvard Avenue, Suite 4D, Allston, MA 02134
Tel. 617-254-4654 | Fax. 617-254-4210 |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C) 2006-2018 by BostonKorea.com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and Managed by Loopivo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