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은 인도·아이패드는 베트남…애플 어쩌나 |
베트남·인도에도 고율의 트럼프 상호관세 |
?????? 2025-04-02, 23:10:22 |
(서울=연합뉴스) 주종국 기자 = 제품 공급망을 중국 일변도에서 베트남, 인도 등으로 확장해온 애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로 중대한 난관에 봉착했다. 베트남에 46%, 인도에 26%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애플 사업 전반에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공급망을 다양화해온 애플에 큰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가 2018년 중국에 관세를 부과한 이후 애플은 수년간 주요 제품 생산기지를 중국 이외 지역으로 이전해왔다. 아이패드와 에어팟은 베트남으로, 아이폰은 인도로 옮기기 시작했다. 인도의 아이폰 공장은 직원 교육과 인프라 구축에 5년이 걸렸다. 이 공장에서 연간 아이폰 판매량 2억대 중 약 25%를 생산할 전망이다. 베트남의 아이패드, 맥북 공장도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중국 내 애플 제품 공장이 폐쇄된 뒤 더 주목받았다. 하지만 베트남과 인도에도 고율의 상호관세 부과가 발표되면서 애플의 공급망 다변화 전략은 무용지물이 될 위기에 처했다. 애플은 전 세계 판매 아이폰의 약 90%를 중국 공장에서 생산한다. 하지만 이번 상호관세(중국 34%) 발표로 중국의 관세율도 총 54%로 올라가게 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마약 유입 문제 등을 이유로 중국에 총 2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바 있다. 애플 전체 연간 매출(4천억 달러)에서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비중은 약 4분의 3에 달한다. 이 제품들에 관세가 추가로 부과되면 애플은 이 비용을 자체 감당하거나 제품값을 인상해 고객에게 부담을 전가해야 한다. 어느 쪽이든 애플의 사업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미국 대형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중국에 대한 관세가 예정대로 부과되면 애플의 연간 비용은 85억 달러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내년 애플 영업이익의 주당 0.52달러, 총 78억5천만 달러 감소로 이어진다. 수익의 7%가 사라진다는 의미다. 이날 상호관세 발표 후 전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5.7% 급락했다. |
![]() |
![]() |
![]() |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 |
|


161 Harvard Avenue, Suite 4D, Allston, MA 02134
Tel. 617-254-4654 | Fax. 617-254-4210 |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C) 2006-2018 by BostonKorea.com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and Managed by Loopivo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