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주간전망] 물가 지표 대기하며 반등 모색
보스톤코리아  2022-09-10, 22:00:12 
(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이번 주(12~16일) 뉴욕증시는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지표를 대기하며, 반등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20~21일(이하 현지시간)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나오는 물가 지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상 폭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미 시장은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을 90%까지 반영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잭슨홀 회의에서 인플레이션 억제 의지를 강하게 언급한 이후,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와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가 잇따라 9월 회의에서 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주장했다.

이번 8월 CPI가 예상과 달리 오름세를 보일 경우 연준은 예상대로 고강도 긴축에 나설 것이라는 점에서 이 같은 위험은 이미 주가에 반영됐다. 반대로 예상대로 인플레이션이 완화한다는 신호가 나타날 경우 주가에는 호재가 될 수 있다. 바로 오는 11월과 12월 회의에 금리 인상 폭이 완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8월 CPI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0%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지난 7월의 8.5%보다 낮아진 것이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1% 하락해 전달의 보합(0.0%)에서 하락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하지만, 근원 CPI는 전년 대비 6.0% 상승하고, 전월 대비 0.3% 올라 전달의 5.9% 상승, 0.3% 상승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CPI(파랑)/근원 CPI(빨강) 전년 대비 상승률
연준 경제 지표 참고(FRED)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내려오고 있다는 증거가 뚜렷해질 때까지 금리 인상을 지속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하지만 연준의 긴축 우려에 3주 연속 하락했던 주가지수는 지난주 반등에 성공했다. S&P500지수는 지난 한 주간 3.6%가량 올라 4,000을 넘어섰다. 지수가 4,000을 넘어선 것은 8월 말 이후 처음이다.

지수 반등에도 상당수 전문가가 주가가 바닥을 쳤다고 보기보다 약세장에서의 기술적 반등에 불과하다고 진단하고 있다. 연준의 긴축이 종료되지 않은 데다 그간의 금리 인상이 경기에 반영되면 하반기와 내년 경기 침체 위험은 커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팩트셋에 따르면 이번 2분기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서 침체(recession)를 언급한 상장 기업의 수가 240개로 최소 2010년 이후 가장 많았다. 2010년 1분기 팬데믹 선언 당시의 212개도 웃돌았다. 그만큼 기업들이 하반기 업황에 대해 우려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실적 발표에서 '침체' 언급 기업 수(위)/물가, 공급망, 침체 언급 기업 수(아래)
팩트셋 인사이트 자료 참고

연준이 금리를 빠르게 올린 후 빠르게 내리지 않고, 한동안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시사하고 있는 점도 주가에는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금리 선물 시장은 연준이 올해 금리를 3.75%~4%까지 인상한 후, 내년 상반기에 4.00%~4.25%까지 인상한 후 유지하다 내년 하반기에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지난주 연방기금금리가 내년 초까지 4%를 다소 웃돌 수 있다고 언급했으나 내년 금리 인하를 예상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이는 여전히 시장이 앞서 가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이번 주에는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금지되는 블랙아웃 기간이라 지표 이외에는 영향을 줄 재료가 많지 않다. 이번 주에는 CPI 이외에도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매판매,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기대 인플레이션 지표가 발표된다.

한편,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3.3%까지 오른 점은 증시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6월 중순 이후 주가가 오르는 동안 10년물 국채금리는 고점을 찍고 내려오는 등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기 때문이다. 장기 금리의 가파른 상승은 미래 현금 흐름을 할인한다는 점에서 기술주에 특히 부담이 돼 왔다.

S&P500지수(파란색)와 10년물 국채금리(빨간색) 올해 2월 이후~현재 차트 흐름
인포맥스 단말기 차트 참고

기술적으로 S&P500지수가 50일 이동평균선인 4,030을 넘어서면서 반등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지수가 200일 이평선인 4,275를 넘어설 수 있을지를 주시하고 있다. 지난 8월 중순 해당 지점 근처에서 주가가 하락 반전하면서 200일 이평선이 약세/강세 추세를 가늠하는 주요 지표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오펜하이머의 아리 월드 기술적 분석가는 보고서에서 지수가 200일 이평선을 넘어서면 주가가 올해 4분기 오름세를 보일 것이라며 이 경우 4,600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 주요 지표 및 연설 일정

-12일

오라클 실적

-13일

8월 전미자영업연맹(NFIB) 소기업 낙관지수

8월 CPI

8월 실질소득

9월 경기낙관지수

-14일

8월 PPI

-15일

8월 소매판매

8월 수출입물가지수

주간 신규실업보험청구자수

9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9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

8월 산업생산

7월 기업재고

어도비 실적

-16일

9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끝)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13년만에 귀환한 '아바타'…외계행성 바닷속 3D에 탄성 2022.09.11
(애너하임[미 캘리포니아주]=연합뉴스) 정윤섭 특파원 = 외계행성 판도라의 푸른 바다가 손에 잡힐 듯 눈 앞에 펼쳐지자 무의식적인 탄성이 쏟아졌다.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주간전망] 물가 지표 대기하며 반등 모색 2022.09.10
(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이번 주(12~16일) 뉴욕증시는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지표를 대기하며, 반등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오..
'마기꾼 되지 말자'…20대 피부과·성형외과 이용 급증 2022.09.09
지난 2분기에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마스크 착용 규정이 완화되면서 20대의 피부과와 성형외과 이용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실외 등에서 마스크를 벗고..
3연속 자이언트스텝 가나…연준 인사들 "9월도 큰폭 금리인상" 2022.09.09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인사들이 9일(현지시간) 잇따라 3연속 '자이언트 스텝&#..
머스크 "스타링크, 아이폰에 인터넷 연결 위해 애플과 협의중" 2022.09.09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전기차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이자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CEO인 일론 머스크는 우주망을 이용해 아이폰에 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