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카메라의 이해와 활용 컬럼 21 / 양성대 [email protected]
보스톤코리아  2010-08-23, 12:13:13 
최첨단 카메라로도 해 줄 수도 없고, 도와줄 수도 없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구도(composition)이다. 아무리 비싼 프로페셔널 카메라라고 하더라도 '이야기를 만들어' 줄 수도 없고, '그림을 그려줄' 수도 없다. 흔히 비싼 카메라 쓰면 사진이 잘 나온다는 것은 매우 우스운 얘기다.

구도는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순전히 사진기를 손에 든 사람의 심미안에 달려있다. 이러한 아름다움에 대한 감각은 사진책 보다는 미술책, 특히 여러 고전 화가들의 그림을 많이 보는 것이 훨씬 큰 도움이 된다.
구도를 이야기할 때 제일 먼저 나오는 것이 'The Rule of Thirds' (삼등분할법, 삼분법)이다. 오랫동안 화가들에 의해 사용되어 오던 것이다. 한 가운데 주제가 되는 피사체를 놓는 것은 지나치게 정적일 뿐 아니라 밋밋한 그림이 되기 쉽다. 그래서 다음의 'The Rule of Thirds' 정의를 생각해보고, 적용해 본다면 좋은 사진을 촬영하는데 큰 도움이 될듯하다.

'The Rule of Thirds'(삼등분할법, 삼분법)이란?
수학적이고 머리 아픈 황금분할에 비해 3등분할법은 실제 구도를 잡을 때 간단하게 화면을 셋으로 나누어 황금분활과 비슷한 나눈점과 나눈선을 쉽게 이용하는 구도법이라 할 수 있다. 화면 가로, 세로를 3등분하면 두 개의 수직선과 수평선이 나오고 네개의 교차점이 생기게 되는데 이 교차점 중 한곳에 피사체를 배치하면 3등분할의 화면이 구성되는 것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가로와 세로를 각각 3등분하여 그 교차점이 만나는 곳에 주제가 되는 피사체를 위치시킨다는 것이다. 이는 마치 긴 글을 보면 자연스럽게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시선이 움직이는 것처럼 어떤 그림을 보면 사람의 시선은 3등분의 교차점에서 먼저 뭔가를 찾으려고 한다.
 
훈련이 되면, 사진을 찍을 때 'The Rule of Thirds'를 머리에 떠올리고 찍는 것은 아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연스럽게 렌즈를 움직여서 구도가 그렇게 잡힌 것 뿐이다. 전체 사진의 가로와 세로를 각각 3등분하는 격자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가로와 세로의 격자가 만나는 교차점이 4개가 있게 되는데 이 교차점에 주된 피사체를 놓으면 보다 안정되고 동적이며 큰 실수가 없는 구도의 사진이 된다.

물론 이 'The Rule of Thirds'란 것은 어디까지나 가이드라인에 불과하다. 이러한 가이드나 룰을 따르지 않고서도 얼마든지 멋지고 아름다운 사진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을 깨기에 앞서 먼저 구도에 대한 감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겠다. 미술품, 특히 화가들의 그림을 볼 때 유심히 한번 살펴보자. 의외로 'The Rule of Thirds'를 따른 작품이 많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8.15 체육대회 한인들 어우러진 커뮤니티 축제 2010.08.25
8.15 체육대회 한인들 어우러진 커뮤니티 축제
815 광복절 행사가 뉴잉글랜드 각지역에서 열려 2010.08.25
815 광복절 행사가 뉴잉글랜드 각지역에서 열려
디지털카메라의 이해와 활용 컬럼 21 / 양성대 [email protected] 2010.08.23
3으로 나눠라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중국 팬들 사로잡아 2010.08.23
( 보스톤 = 보스톤코리아 ) 양성대 기자 = SBS 수목 드라마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이하 여친구)가 중국 대륙에서 인기몰이 중이다. 한국 고유의 전설인 구..
이시영, 입술로 승부한다 2010.08.23
( 보스톤 = 보스톤코리아 ) 양성대 기자 = 배우 이시영이 입술을 강조한 파격적인 흑백화보를 공개했다. 이시영은 이번 메이크업 화보촬영에서 기존의 톡톡 튀는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