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업계를 살릴 해결 방안
보스톤코리아  2009-02-26, 02:28:19 
정부에 자구책을 제출한 후에도 계속해서 추가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자동차 업계에 대해 CNN머니가 해결책을 제시했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비판의 목소리와 함께 그래도 빅3가 파산할 경우에 미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생각해서 지원을 해줘야 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는 상황에서 CNN머니는 4가지 옵션을 제시했다.

언뜻 다양한 카드가 있는 것 같지만 하나씩 살펴보면 만만치 않은 부작용과 후유증을 수반하고 있다.

GM, 크라이슬러 추가 지원

미국 자동차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 300만 명과 노조가 열렬하게 지지하고 있는 방안이다. 그러나 GM과 크라이슬러가 흑자로 전환할 가능성이 극히 낮다는 점에서 쓸데없이 혈세를 낭비하는 꼴이 될 수 있다.

CNN머니는 “자동차 수요가 극적으로 증가하지 않는 한 GM과 크라이슬러가 흑자로 전환할 가능성은 사실상 전무하다”며 “GM과 크라이슬러의 요구대로 216억 달러를 추가 지원하면 그대로 날리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GM, 크라이슬러의 합병

두 회사를 합병해 고정 비용을 줄이고 시너지 효과를 거두자는 방안으로 지난 해 말부터 미국 자동차 업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안은 시너지 효과에 대한 회의론과 대량 해고 등 후유증이 만만치 않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CNN머니는 “두 회사 모두 대형차 중심의 생산 체제를 갖고 있어 합병 시너지가 크지 않을 것”이라며 “합병이 되면 크라이슬러는 전체 인력 6만여 명 중 절반 이상이 일자리를 잃을 것이며, 연관 산업의 일자리 20만 개가 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합병 대상이 되는 크라이슬러 경영진이 이 방안을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두 회사 파산 후 새 회사 설립

두 회사를 아예 파산시킨 후 브랜드 등 수익성 자산만을 선별적으로 가려내 새 회사를 만들자는 방안이다.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두 회사의 회생이 불가능하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그러나 이 방안도 천문학적인 비용이 필요하기는 마찬가지다. CNN머니는 “미국 정부는 두 회사의 파산 후 구조 조정과 영업을 위해 400억 달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지만 실제로는 1,250억 달러가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파산 신청을 하게 되면 두 회사가 금융 기관을 이용할 수 없게 되고 딜러십 등 기존에 맺고 있던 계약을 모두 상실하는 등 엄청난 후유증을 각오해야 하는 것도 부담이다.

크라이슬러만 파산시키기

크라이슬러를 파산시키면 연간 100만대 가량의 자동차 공급이 감소하므로 경쟁 기업인 GM은 숨통이 트이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크라이슬러 임직원 6만 명과 연관 산업 종사자들은 거리에 나앉게 된다. CNN머니는 “크라이슬러가 관련 기업에 갚아야 할 부채가 70억 달러”라며 “크라이슬러의 도산은 관련 기업 파산으로 이어져 미국 경제에 만만치 않은 후유증을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성일 기자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하버드 김용 교수, 명문 다트머쓰 총장 임명 2009.03.03
한국인이 아시안계로는 최초로 미국의 명문 아이비리그 대학인 다트머쓰 칼리지(Dartmouth College)의 총장으로 임명됐다. 다트머쓰 칼리지 이사회는 3월..
미 정부 씨티그룹 국유화 검토 중 2009.02.26
국유화 되어도 당장 큰 변화 없을 듯
AIG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 손실 예상 2009.02.26
600억 달러 손실 전망 속 국유화 거론
자동차 업계를 살릴 해결 방안 2009.02.26
CNN머니 4가지 해결책 제시
공화당 주지사 "돈 줘도 안받아?" 2009.02.26
정치적 득실 저울질, 일부 주지사 안 받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