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무·쉬인 향한 관세폭탄에 美빅테크가 휘청…광고매출 격감
미국 시장서 공격적 온라인 광고 중단…빅테크 광고 사업 역풍
??????  2025-05-03, 09:16:59 
테무와 쉬인 로고
테무와 쉬인 로고
(서울=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의 온라인 유통업체 테무와 쉬인에 부과한 관세 폭탄에 메타 등 미국의 빅테크 업체들이 휘청거리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3일(현지시간) 시장정보업체 센서타워를 인용해 테무가 지난 3월 31일부터 2주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미국의 주요 온라인 플랫폼에서 일일 광고 지출을 31% 줄였다고 보도했다.

쉬인도 같은 기간 미국 내 소셜네트워크(SNS) 광고 지출을 19% 줄였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발표된 4월부터 이 같은 현상은 더욱 두드러졌다.

마케팅업체 티누이티의 조사에 따르면 4월 5일 기준으로 미국 구글 쇼핑에서 노출된 광고 중 테무가 차지한 비율은 19%였지만, 일주일 후에는 0%로 격감했다.

쉬인도 4월 초 광고 비율이 20%에 달했지만, 4월 16일에는 0%가 됐다.

티누이티는 이 같은 광고 축소의 요인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부과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800달러 미만 수입품에 관세를 면제해주던 '소액 면세 제도'를 5월 2일부터 폐지하고, 120%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따라 테무와 쉬인은 미국 소비자들에 대한 가격을 인상했다.

초저가 상품 가격을 앞세워 미국 시장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끈 두 업체 입장에선 최대 위기에 직면한 셈이다.

이에 따라 테무와 쉬인은 미국 시장에서 공격적인 광고 활동을 중단했고, 미국의 빅테크 업체들도 광고 매출에서 타격을 받게 됐다는 이야기다.

지난 2년간 미국에서 온라인 광고에 가장 많은 돈을 쓴 기업은 아마존이었고, 그다음이 쉬인과 테무였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모회사 메타도 광고 매출이 줄었다고 밝혔다.

수전 리 메타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달 30일 투자자들과의 컨퍼런스콜에서 기업의 이름을 밝히지 않은 채 '몇몇 아시아 소매업체들이 관세 때문에 미국 내 광고 지출을 줄였다'고 말했다.

메타는 지난해 중국 광고주로부터 184억 달러(약 25조8천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체 매출의 약 11%에 해당하는 수치다.

소셜미디어 기업 스냅도 관세 탓에 일부 광고주가 광고 지출을 줄였다고 밝혔다.

스냅은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이유로 2분기 실적 전망을 제공하지 않았고, 이후 주가는 12% 하락했다.

구글도 소액 면세 제도 폐지 때문에 광고 사업에서 역풍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관세 무풍' 넷플릭스 주가, 11거래일 연속 올라 사상 최고치 2025.05.03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업체 넷플릭스의 주가가 고공 행진하고 있다. 올해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11 거래일째 올라..
머스크의 스페이스X, 텍사스 발사 기지에 자체 도시정부 구축 2025.05.03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텍사스주에 건설한 우주기업 스페이스X 기지 일대에서 이 회사가 이끄는 자..
테무·쉬인 향한 관세폭탄에 美빅테크가 휘청…광고매출 격감 2025.05.03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의 온라인 유통업체 테무와 쉬인에 부과한 관세 폭탄에 메타 등 미국의 빅테크 업체들이 휘청거리고 있다.뉴욕타임스(NYT)는 3일(현지시..
김문수, 당심 22%p·민심 3%p차 승리…'한덕수 단일화' 기대 반영 2025.05.03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수락 연설을 하고 있다. 2025.5.3 [공동취재] pdj66..
미 4월 고용 '트럼프 관세' 시행에도 호조…17만7천명 증가 2025.05.02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경기 침체를 가져올 것이란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미국의 일자리가 양호한 증가세를 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