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주간전망> 물가·실적 발표 속 변동성 지속될 듯
보스톤코리아  2022-02-06, 19:25:00 
 (뉴욕=연합뉴스) 임하람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이번 주(2월 7일~2월 11일) 뉴욕증시는 물가와 기업 실적 발표 속 변동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뉴욕 증시는 지난달의 가파른 하락세에서 반등했다.

3대 지수는 주간으로 상승했으나 주중 발표된 빅테크 기업의 실적에 따라 극심한 변동성을 나타냈다.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 플랫폼스의 주가가 실적 부진에 25% 이상 폭락하는가 하면 아마존과 알파벳의 주가는 실적 호조로 급등하기도 했다.

지난 한 주간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05% 상승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55% 올랐다. 나스닥지수는 같은 기간 2.38% 상승했다.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주간 단위로 올해 들어 최고의 한 주를 보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공포는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지난 1월 비농업 고용 지표가 대폭 호조를 나타내면서 생각보다 탄탄한 고용 시장이 연준의 긴축 속도를 앞당길 수 있기 때문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올해 3월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100%로 내다봤다. 25bp 인상 가능성은 63.4%, 50bp 인상 가능성은 36.6%에 달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의 올해 금리 인상 횟수 전망도 점차 상향하고 있다.

65% 이상의 금리 선물 시장 참가자들은 올해 연준이 다섯 차례 이상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주 잉글랜드은행(BOE)이 팬데믹 이후 두 번째의 금리 인상을 단행했고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도 기존보다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인 태도를 나타내면서 글로벌 중앙은행의 연쇄 긴축에 대한 공포가 시장의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현재 1.9%를 상향 돌파한 상태다. 10년물 국채 금리가 1.9% 위로 올라선 것은 팬데믹이 발발했던 2020년 1월 이후 처음이다.

다만 연준의 긴축 공포가 올해 초부터 주식시장에 꾸준히 반영되어 온 만큼 선반영 효과에 증시의 실제 영향은 제한될 수 있다.

이번 주에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된다.

가파른 물가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연준의 긴축 강도가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민감도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12월 CPI는 전년동기대비 7.0% 오르면서 1982년 6월 이후 4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작년 12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8% 상승하면서 40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들은 1월 CPI가 전년동기대비 7.2%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전월대비 상승률 전망치는 0.4%로 전월대비 상승세가 소폭 완화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주에는 화이자, 우버, 토요타, 월트디즈니, 코카콜라와 켈로그 등의 실적이 발표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연준의 금리 인상이 예고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실적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지난주처럼 빅테크 기업의 실적이 대거 발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개별 종목 실적도 시장 심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우려는 시장의 위험 회피 심리로 연결돼 금융시장 부담 요인이다.

또 지정학적 긴장에 따른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강세도 변수다. 최근 국제유가는 배럴당 90달러대를 돌파하며 2014년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 이번 주 주요 지표 및 연설 일정
    -7일
    12월 소비자신용
    암젠, 하스브로, 에너자이저 실적
    -8일
    NFIB 소기업 낙관지수
    12월 무역수지
    화이자, 소프트뱅크, BNP파리바, S&P글로벌, KKR, 리프트, 치폴레, 펠로톤 실적
    -9일
    12월 도매재고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연설
    월트디즈니, CVS, 우버, 캐노피, 토요타, 혼다 실적
    -10일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수
    1월 소비자물가지수
    코카콜라, 펩시코, 익스피디아, 크레디트스위스, 아스트라제네카, 트위터, 켈로그, PG&E 실적
    -11일
    2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예비치
    언더아머, 클리브랜드 클리프, 뉴웰 브랜드 실적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올림픽>한국 쇼트트랙, 충격의 노메달…중국이 금·은 석권 '어부지리' 2022.02.07
한국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메달 레이스가 시작된 5일부터 사흘 연속 메달 소식을 전하지 못했다.특히 7일은 쇼트트랙 여자 500m와 남자 1,000m에..
<뉴욕증시-주간전망> 물가·실적 발표 속 변동성 지속될 듯 2022.02.06
(뉴욕=연합뉴스) 임하람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이번 주(2월 7일~2월 11일) 뉴욕증시는 물가와 기업 실적 발표 속 변동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지난주..
<올림픽>안현수 품더니…중국 쇼트트랙의 한국화 프로젝트 대성공 2022.02.05
항상 한국에 밀렸던 중국 쇼트트랙은 지난 2019년 특별한 프로젝트를 가동했다.자국에서 열리는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을 대비해 라이벌이자 세계 최강의 실력을 자..
실적 따라 '극과 극'…아마존, 호실적에 시총 역대 최대폭 증가 2022.02.05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정성호 특파원 =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주가가 4일(현지시간) 13.5%나 급등하며 시가총액이 역대 최대인 229조원이나..
상, 하원 올림픽 맞춰 대규모 중국 견제법안 가결 2022.02.05
(워싱턴=연합뉴스) 백나리 특파원 =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개막한 4일(현지시간) 미국 하원은 미국의 경쟁력 강화를 골자로 하는 대규모 대중견제법안을 가결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