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포드 부활...크라이슬러만 '왕따'
보스톤코리아  2010-11-22, 14:02:26 
크라이슬러의 세르지오 마르치오네 최고경영자(CEO)
크라이슬러의 세르지오 마르치오네 최고경영자(CEO)
(보스톤 =보스톤코리아) 장명술 기자 = 미국 자동차 포드가 사상 최대의 분기실적을 기록하고 제너럴모터스(GM)가 사상 최대 규모의 IPO(기업공개)를 기록하며 증시에 주식을 재상장하는 등 화려하게 부활하고 있지만 '빅3'중 하나였던 크라이슬러만 아직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크라이슬러는 GM과 함께 지난해 파산보호 절차를 거치고 공적자금을 지원받았지만, GM이나 포드와 달리 아직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미국 자동차 업계의 부활에서 소외되면서 '빅3'가 '빅2'로 재편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크라이슬러의 세르지오 마르치오네 최고경영자(CEO)는 인내와 시간이 필요하다면서도 크라이슬러의 수익성 회복(턴어라운드)을 장담하고 있지만, 투자자들이 GM과 포드에만 몰려들면서 크라이슬러는 점차 '디트로이트의 왕따'가 돼가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8일 보도했다.

크라이슬러는 지난 17일 로스앤젤레스 모터쇼에서 새로운 닷지 듀랭고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피아트 500 소형차 등을 선보였지만, 애널리스트들은 더 다양한 모델이 필요하다면서 기업공개까지는 아직 먼 길이 남아있다고 진단했다.

마르치오네 CEO는 내년 하반기에 크라이슬러의 주식 상장이 이뤄질 것이라고 공언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크라이슬러의 주식이 시장에서 GM과 같은 좋은 반응을 얻을지는 아직 미지수라고 지적하고 있다.

크라이슬러는 지난 3분기 적자 규모를 8천400만달러로 줄였지만 미국과 캐나다 정부에 아직도 74억달러의 부채가 남아있고 올 들어 3분기까지 8억9천900만달러의 이자를 내느라 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크라이슬러의 지분 8%를 갖고 있고 최대주주는 55%의 지분을 가진 미국자동차노조(UAW) 퇴직자건강보험기금이다.

크라이슬러는 작년 미국시장에서 판매가 극도로 침체됐던 것에서 점차 벗어나고 있으나, 여전히 부진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 들어 10월까지 미국시장에서 크라이슬러의 판매량은 91만대로 16% 증가했지만 GM이 판매한 180만대의 절반에 불과한 수준이다.

시장분석업체 JD파워 앤 어소시에이츠의 자동차전망 부문 책임자인 제프 슈스터는 "그들은 시장에서 자신들의 능력을 입증해 보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시간이 다소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email protected]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Short Sale (1) 2010.11.22
백영주의 부동산 따라잡기
빨간띠를 두른 그대 2010.11.22
디지털카메라의 이해와 활용 컬럼 34 / 양성대 [email protected]
영민엄마와 함께하는 재정계획 (52) : 가장 좋은 뮤추얼 펀드에 투자 2010.11.22
이명덕 박사의 재정 칼럼
GM-포드 부활...크라이슬러만 '왕따' 2010.11.22
미국 자동차시장 '빅2'로 재편될 움직임
매사추세츠 실업률 8.1% 2010.11.22
(보스톤 =보스톤코리아) 장명술 기자 = 매사추세츠주 10월 실업률이 18개월만에 최저로 하락했다고 노동력개발 행정사무소가 18일 발표했다. 매사추세츠주의 실업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