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데이터 용량 잡아먹는 앱들
보스톤코리아  2011-07-18, 15:05:15 
( 보스톤 = 보스톤코리아 ) 장명술 기자 = AT&T에 이어버라이존도 무제한 데이터플랜을 폐지했다. 이에 따라 매달 일정 데이터 사용용량 한계를 갖는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점점 늘어날 전망이다. 데이터 사용용량 초과로 부담해야 할 수수료를 기피하기 위해서는 어떤 앱을 사용했을 때 가장 많은 데이터 용량을 소모하는 지 파악해야 한다.

비디오 스트리밍- 가장 큰 데이터 용량 먹는 주범. 유튜브 또는 이와 유사한 화질의 비디오를 1분간 스마트 폰에서 보는 경우 2메가바이츠의 데이터를 잡아먹는다. 만약 한 달 데이터 사용용량이 200메가 이하라면 레이디 가가의 "Telephone” 비디오를 하루에 한 번 씩 봐서는 안된다. 2기가 바이츠라면 가능하다. 하지만 스마트 폰을 TV 대용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단 와이파이(무선인터넷)가 가능지역에서는 유튜브 또는 넷플렉스 모두 별 문제되지 않는다.

오디오 스트리밍-두 번째로 많은 네트워크 데이터 용량을 사용하는 원인이다. 잠재적으로는 TV보다 위험하다. 비디오의 경우 그것을 보면서 집중해야 하지만 인터넷 라디오의 경우는 조깅을 하거나 아니면 설거지를 하면서 들을 수 있다. 이는 사람들이 몇 시간이고 계속해서 인터넷 음악방송을 들을 수 있다는 의미다. 오디오의 경우 비디오의 경우보다 약 4분의 1가량의 데이터를 소모한다. 하루에 10분 이상씩 인터넷 음악을 듣는다면 200메가 한달 용량을 초과한다. 판도라를 하루에 한 시간씩 듣는 것은 한달에 1기가바이츠의 용량을 사용한다.

사진-사진을 많이 찍는 사용자라면 사진 또한 많은 데이터 용량을 사용하게 된다. 하루에 10장의 사진을 페이스 북 등에 올리는 경우 한 달에 거의 200메가 용량을 사용하게 된다.

지도 -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하는 앱은 거의 1분에 1메가 정도의 데이터 용량을 사용한다. 만약 스마트폰을 네비게이션 대용으로 장시간 동안 운전하면서 사용하는 경우 상당한 용량을 소모한다.

웹 서핑- 웹페이지는 각 사이트의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용량을 소모한다. 사진이 많은 사이트의 경우에는 많은 데이터를 소모하며 상대적으로 글이 많은 사이트는 적은 용량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하루에 약 10페이지의 웹페이지를 보는 경우 한달에 약 100메가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페이스 북 - 거의 웹 서핑하고 비슷하다. 하지만 사진을 올리고 친구의 사진 비디오를 보는 경우 많은 데이터를 잡아 먹는다.

이메일-대부분의 이메일은 아주 작은 용량의 데이터를 소모한다. 그러나 사진을 첨부하는 경우에는 달라진다.

트위터 – 이메일처럼 많은데이터를 사용치 않는다. 많은 사람을 팔로우 하거나 각 링크를 클릭하는 경우 달라진다.

날씨 앱. 작고 집중력 있는 날씨 앱은 웹페이지 전체를 보는 것보다 시간과 데이터 사용을 훨씬 절약한다.

[email protected]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보스톤에서 첫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모기 발견 2011.07.18
( 보스톤 = 보스톤코리아 ) 박현아 기자 = MA 보건부는 올해 처음으로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 모기를 발견했다고 8일 발표했다. 주 실험연구소에서 웨스트..
상속세(Estate Tax)및 증여세(Gift Tax) : 상속세 사례검토(2) 2011.07.18
미국 영주권자인 김 한국씨는 보스톤에 거주하는 부(父)의 사망으로 한국에 있는 재산을 상속받게 되었습니다. 이 경우 한국과 미국에서 상속세는 어떻게 과세되나요?..
무선 데이터 용량 잡아먹는 앱들 2011.07.18
( 보스톤 = 보스톤코리아 ) 장명술 기자 = AT&T에 이어버라이존도 무제한 데이터플랜을 폐지했다. 이에 따라 매달 일정 데이터 사용용량 한계를 갖는 스마트폰..
해커에게 취약한 휴대폰 보이스 메일 2011.07.18
아이디 위장 서비스를 이용한 보이스 메일 해킹 만연
영민 엄마와 함께하는 재정계획 (83) : 은퇴연금 같은 어뉴어티의 자세한 진실 2011.07.18
이명덕 박사의 재정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