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관영지, 국적항공사 일부 한중노선 운항 중단에 노골적 불쾌감
한중관계 긴장으로 수요 감소 주장…단체여행 허용국서 한국 제외 언급 안해
보스톤코리아  2023-06-25, 21:42:46 
중국·일본발 입국
중국·일본발 입국
(베이징=연합뉴스) 한종구 특파원 =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항공노선의 여객 수요 감소로 일부 한국 국적 항공사가 노선 운항을 일시 중단하기로 하자 중국 당국을 대변하는 관영매체가 노골적인 불쾌감을 드러냈다.

한국 관광지와 면세점에서 중국인들을 보기 어려울 것이라는 협박성 주장도 서슴지 않았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26일 한국의 항공노선 조정은 시장 요인에 따른 것이라며 한국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항공사가 여객 수요 증가를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주장을 내놨다.

둥샹룽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이 매체에 "탑승객 감소로 비용을 줄이기 위해 항공노선을 중단하는 것은 합리적"이라면서도 "승객이 적은 배경에는 분명히 정치적 요인이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4월 로이터 통신 인터뷰 등을 통해 한국 측이 '힘에 의한 대만해협 현상 변경 반대'를 강조하면서도 '하나의 중국' 원칙을 견지한다고 밝히지는 않은 점이 양국 관계 긴장을 초래해 한중 여객 수요가 감소했다는 주장이다.

둥 연구원은 "한국 정부는 친미·친일 노선에 치우친 외교정책을 시행하면서 중국·러시아와의 관계 악화와 한반도 긴장에 대한 국내의 우려를 불러일으키는 등 부작용을 초래했다"며 "한국 정부는 중한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의지와 행동을 보여주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한국은 덜 매력적인 여행지가 됐고 한국 상품의 인기도 떨어졌기 때문에 한국 면세점과 관광지에 중국인 관광객이 몰려드는 모습을 보기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내놓았다.

하지만 신문은 중국 당국이 올해 초부터 태국, 인도네시아, 네팔, 베트남 등 60여개국에 대해 자국민 해외 단체여행을 허용하면서 한국을 단체여행 대상국에 포함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거론하지 않았다.

또 일부 중국 노선 운항이 중단되더라도 다른 노선의 재개·증편에 따라 전체 운항 횟수는 늘거나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한국 항공사의 발표도 소개하지 않았다.

대한항공은 김포∼베이징과 인천∼샤먼 노선 운항을 8∼10월 중단하지만, 인천∼창사·웨이하이 노선 운항을 재개해 한중 노선 항공편을 이번 달 주당 95회에서 다음 달에는 주당 124회로 늘릴 예정이다.

아시아나항공도 내달부터 김포∼베이징과 인천∼선전 노선을 운항하지 않지만, 6∼8월 전체 한중 노선 운항 횟수를 주당 85회로 유지한다.

jkhan@yna.co.kr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학생 및 교환방문자 프로그램(SEVP), 코로나바이러스 질병(COVID-19) 지침 종료 2023.06.26
2023년 4월 10일 COVID-19 국가비상사태가 종료되었습니다. COVID-19 공중 보건 비상사태가 해제됨에 따라 학생 및 교환방문자 프로그램 ( SEVP..
어퍼머티브액션 수혜 두 대법관, 정책유지 여부에 정반대 입장 2023.06.26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미국 연방 대법원이 이르면 27일(현지시간) 대학 입학 때 소수 인종을 배려하는 '어퍼머티브 액션'(Affir..
中관영지, 국적항공사 일부 한중노선 운항 중단에 노골적 불쾌감 2023.06.25
(베이징=연합뉴스) 한종구 특파원 =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항공노선의 여객 수요 감소로 일부 한국 국적 항공사가 노선 운항을 일시 중단하기로 하자 중국 당국을 대..
뉴튼서 노부부와 모친 피살, 외부침입 흔적 검찰 문단속 당부 2023.06.25
뉴튼 노낸텀(Nonantum) 지역의 한 가정집에서 3명의 노인들이 피살된 것을 25일 일요일 오전 발견한 경찰은 긴급히 범인 색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뉴튼..
실패한 쿠데타 후 권력자 몰락…옛소련의 기억 소환한 서방 언론 2023.06.25
(제네바=연합뉴스) 안희 특파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용병기업 바그너그룹의 무장 반란 사태가 발생한 지 하루 만에 정치적 타결로 위기를 벗어났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