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르고의 영어잡설 58 ] 자동차와 카드 사이
보스톤코리아  2019-04-29, 10:40:28 
“이번 발렌타인데이에 아내에게 뭘 해줄 거니?” “흠, 차를 사 줄 예정이야.” 오바마처럼 훤칠한 키에 미남인 에두아드는 정말 돈 많은 자상한 남편인가보군, 부럽기도 하지, 하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나는 근처의 에티오피아 식당에 가서 아내와 함께 호젓하게 외식을 할 거라고 말해주었다. “그런데 차에 뭐라고 써야 할지 모르겠어.” 에두아드가 덧붙였다. 아니, 차에 뭐라고 쓰다니? 그의 말을 듣는 순간 내가 뭘 잘못 알아들었구나 하는 생각이 번쩍 떠올랐다. 에두아드도 소통에 문제가 있었음을 알아챈 눈치였다. “Oh, no. I mean, I’m gonna buy her a card, not a car.” 차라 아니라 카드를 사준다는 것이었다. 

필자는 왜 card를 car로 잘못 알아들었을까? 언어학적으로 말하자면 마지막 자음은 목으로 삼키기 때문에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다. 예를 들면 card와 cart는 글씨를 보면 확연하게 다르지만 소리로 들을 때는 딱 부러지게 구분되지 않는다. 두 단어가 구분되는 것은 마지막 /d/와 /t/의 차이가 아니라 모음의 길이 때문이다. 역시 전문용어를 빌리자면, /d/와 같은 유성자음이 오면 선행하는 모음이 길게 발음되고, /t/와 같은 무성자음이 오면 선행하는 모음이 짧게 발음된다. 거듭 말하지만 card와 cart는 끝의 자음이 거의 들리지도 않고 구분되지도 않는다. 좀 길다 싶으면 card이고, 짧다 싶으면 cart인 것이다. 

이렇게 배워놓고 현장에서는 card를 car로 듣다니! 역시 대화는 맥락을 파악해야지 단어 하나하나를 알아들으려고 하면 안 된다는 교훈. 맞아 아무리 돈 많은 변호사라도 발렌타인데이에 아내에게 자동차를 사준다는 것은 좀 유별난 일이야. 미국사람들은 카드 쓰는 것을 좋아하니까 소박하게 카드를 쓰리라는 생각을 했어야 하는데. 

아무튼 그건 그렇고, 유성음과 무성음 이야기를 더 해보자. 이들은 단어 끝에서는 서로 구별이 되지 않고 앞에 오는 모음의 길이에 영향을 줄 뿐이다. 물론 사전에는 발음기호를 다르게 하긴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실제 발음이 아니라 마음속의 발음을 표기한 것에 불과하다. 전형적인 예가 bad와 bat이다. 사전에는 각각 /bæd/와 /bæt/로 구분되어있지만, 실제 소리를 들어보면 전자가 후자보다 좀 길다는 점 외에는 전혀 다른 차이가 없다. 컴퓨터 음성분석을 보면 모든 유성음은 유성음으로 시작해서 무성음으로 끝나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실에서 bad와 bat를 길이에 의해 구분하게 될 상황이 있을까? 그런 상황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된다. bad는 형용사이고, bat는 명사니까 서로 쓰이는 맥락이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필자처럼 card와 car를 헷갈리는 것도 흔한 경우는 아니다. 둘이 다 명사이긴 하지만, 워낙 두 단어의 차이가 크니까.

전에 애리조나에 살 때의 일이다. 쌀쌀한 어느 가을날 저녁에 아이와 함께 쓰시 레스토랑에 갔다. 여종업원이 뭐라고 하는데 필자의 귀에는 “같이 드시겠어요?” 하는 것 같았다. 짧은 순간이었지만 눈치는 느리고 상상력은 풍부한 필자는 또 속으로 생각했다. 아, 인심 한 번 박하네, 아이랑 함께 왔다고 같이 드시라니? 여종업원은 온갖 상상의 나래를 펴고 있는 필자는 아랑곳하지도 않고 묵묵히 차를 따르고 있었다. 내 앞에 한 잔, 그리고 아이 앞에 한 잔. 따끈한 홍차였다. 같이 드시라는 말이 아니라 hot tea 드시라는 말이었다. 필자는 왜 hot tea를 ‘같이’로 알아들었을까?

언어학적 변명을 하자면 이렇다. /h/와 /k/는 둘 다 목젖부분에서 발음되는 소위 구개음이다. 연구개를 완전히 폐쇄했다가 열면서 발음하면 /k/가 되고, 반대로 그걸 완전히 개방하여 발음하면 /h/가 된다. 소주를 한 잔 들이켜고 [캬~] 하는 사람이 있고 [햐~] 하는 사람이 있다. 여러 언어에서 /k/와 /h/는 자주 교체된다. 미국사람들은 테무친을 [징기스칸]이라 부르지만 몽골인들은 그를 [징기스한]이라 부르고, 중국인들은 [청지쓰한(成吉思汗)]이라 부른다. 우즈베키스탄의 도시 부하라를 미국인들은 Bukhara라 쓰고 [부카라]라 발음하지만 현지인들은 [부하라]라 부른다. 뿐만이 아니다. ‘학생(學生)’을 일본식 한자음으로는 [각세]라 하고 ‘한국(韓國)’을 일본식 한자음으로는 [캉고쿠]라 한다. ‘중국음’이란 뜻의 ‘한음(漢音)’을 일본식 한자음으로는 [칸온]이라 발음한다. 이 정도면 필자가 hot tea를 [같이]로 알아들은 것이 오로지 필자만의 잘못이 아니라는 변명이 되지 않았을까.


올댓보스톤 교육컨설턴트, [email protected]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유에스뉴스 선정 2019 매사추세츠 최고 고교 2019.04.30
보스톤 라틴 스쿨이 매사추세츠 최고 고등학교로 선정됐다. 보스톤 라티은 미국내 고교중 전체 33위를 차지하며 매사추세츠 주내에서는 유일하게 100위권에 드는 학교..
평통 제3회 통일 골든벨 개최, 참가신청 접수중 2019.04.29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보스톤지역협의회는 통일골든벨 행사를 렉싱톤 소재 성요한 교회에서 5월 11일 오후 2시 개최한다. 보스톤 지역 초, 중, 고교생을 대상으로 통..
[ 오르고의 영어잡설 58 ] 자동차와 카드 사이 2019.04.29
“이번 발렌타인데이에 아내에게 뭘 해줄 거니?” “흠, 차를 사 줄 예정이야.” 오바마처럼 훤칠한 키에 미남인 에두아드는 정말 돈 많은 자상한 남편인가보군, 부럽..
은퇴플랜 롤오버(Rollover)의 중요성 2019.04.29
오랫동안 일했던 직장에서 은퇴한다. 직장에 있던 은퇴플랜(401(k), 403(b), 457, TSP) 등을 그대로 남겨놓는다. 요즘에는 평생직장이란 개념도 없다..
'국제선 모금 만찬'을 위해 열심히 일하는 국제선 임원들을 보면서... 2019.04.29
4월 27일(토) 6시에 Haverhill 소재 DiBurro's Function Facility에서 국제선(회장:채명희) 모금 만찬 행사가 있다. 국제결혼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