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젠슨 황 "한국이 엔비디아의 시작부터 핵심 역할" |
| 이건희 전 삼성 선대회장과 편지 언급하며 한국과 인연 강조 한국에 좋은 소식 있어…AI·로보틱스 관련 AI 미래 매우 밝아…엔비디아 더 커질 것 |
| ?????? 2025-10-30, 12:03:45 |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오지은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금의 엔비디아가 있기 까지 한국인들의 e스포츠에 대한 열정이 있었다며 인공지능(AI) 산업 발달에서 한국의 역할을 추켜세웠다. 그는 31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는 삼성전자[005930], SK, 현대차그룹, 네이버 등 국내 주요 기업에 AI 반도체를 공급하는 신규 계약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이 발표할 때까지 기다리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그러면서 "한국에 대한 아주 좋은 소식을 갖고 있고, 힌트를 드리자면 그 소식은 인공지능(AI), 그리고 로보틱스와 관련된 것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한국에서 파트너들과 많은 회담을 가질 예정이며 수많은 지도자를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30일 한국을 찾은 그는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 그래픽카드(GPU) '지포스'의 한국 출시 25주년 행사 무대에 올라 AI의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e스포츠와 한국 덕분이라고 공을 돌렸다. 그는 "엔비디아가 발명한 GPU, 지싱크(G-SYNC), 저지연 리플렉스 등은 모두 e스포츠 덕분이고 한국 덕분"이라며 "여러분 덕분에 우리가 여기 있을 수 있다. 모두에게 감사드리고 사랑한다"고 말했다. 황 CEO는 "e스포츠가 없었다면 지포스도 없었다. 지포스로 인해 AI 혁명을 시작했고 전 세계의 연구자, 과학자들이 AI를 쓰고 있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제가 처음 헤르츠 모니터를 본 것도 한국이었고, (당시 본) 초당 300프레임은 말이 안 되는 숫자였다. 한국에서만 가능한 일이었지만 지금은 글로벌 표준이 된 놀라운 일"이라고 회고했다. 그는 1996년 고(故)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으로부터 받은 편지를 언급하며 "한국이 우리 회사의 시작부터 핵심이 되어왔다는 점을 꼭 알아주셨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에 엔비디아 투자자가 많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며 "그것이 한국이 부유한 이유"라고 농담을 건내기도 했다. 지포스 한국 출시 25주년 행사 무대에 오르기 전 그는 기자·시민들과 질의응답에서 미·중 협상에 대한 평가와 관련 "그들이 각자의 국가를 위해 최선의 거래를 성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의견을 피력했다. 황 CEO는 "아시다시피 트럼프 대통령은 훌륭한 협상가이자 거래의 달인이며 시진핑 주석과 매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협상은) 완전히 그들의 손에 달려 있으며 여러분과 마찬가지로 저도 그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엔비디아 시총이 한국을 방문하기 전날인 29일(현지시간) 약 5조311억달러를 기록한 데 대해 "역사상 최초로 5조 달러 시가총액을 달성한 기업이 된 점에 대해 매우 감사하고 영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엔비디아가 저평가됐느냐"는 질문에 "AI는 역대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로 이는 세계가 지금까지 경험한 가장 거대한 기술 산업이 될 것이며 오늘날보다 훨씬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어 "오늘날의 우리보다 훨씬 더 커질 가능성이 있을까"라고 물은 뒤 "그 답이 절대적으로 그렇다고 생각한다"고 자답했다. 엔비디아 시총이 더 커질 수 있다는 확신을 시사한 것이다. 그는 "모든 컴퓨터 기업, 모든 클라우드, 어디에나 있는 컴퓨터들이 엔비디아 아키텍처로 전환하고 있다"며 "우리는 10년에 걸친 플랫폼 전환의 시작점에 서 있으며 우리와 AI의 미래는 매우 밝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이어 "의료, 교통, 제조업, 그리고 과학의 모든 분야에 걸쳐 인공지능이 적용되면서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따라서 이는 세계가 지금까지 본 가장 큰 단일 산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의견목록 [의견수 : 0]
|
![]() |
|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 |
|
|
프리미엄 광고
161 Harvard Avenue, Suite 4D, Allston, MA 02134
Tel. 617-254-4654 | Fax. 617-254-4210 |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C) 2006-2018 by BostonKorea.com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and Managed by Loopivot.com









의견목록 [의견수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