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통상당국, 미국서 스코틀랜드까지 옮겨 '막판 협상'
韓 산업장관·통상본부장, 美 협상단 일정 맞춰 긴급 스코틀랜드
美 상무장관·USTR 대표와 '조선업 협력' 등 논의 진전 시도
??????  2025-07-28, 08:48:23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 회의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면담을 갖고, 한미 관세 협상 진전과 산업 분야 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 회의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면담을 갖고, 한미 관세 협상 진전과 산업 분야 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세종·서울=연합뉴스) 차대운 김동규 기자 = 한미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에 머물던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추가 협상을 위해 미국 협상단 일정에 맞춰 유럽을 찾은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일인 8월 1일을 불과 나흘 앞두고 협상 시한이 촉박한 가운데 최종 협상 타결을 위해 총력전을 벌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28일 한미 관세 협상 동향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지난 24∼25일(이하 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이틀 연속 통상 협상을 마친 뒤 스코틀랜드로 이동했다.

두 사람은 24일 워싱턴 DC 상무부 청사에서 협상을 진행한 데 이어 25일에는 뉴욕에 있는 러트닉 장관 자택에서 협상을 이어갔는데, 뉴욕 협상 이후 워싱턴 DC로 복귀하지 않은 사실이 현지에 알려지면서 유럽행 관측을 낳았었다.

뉴욕 자택 협상에서 한국 측은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뜻의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로 이름 붙인 수십조원 규모의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를 제안해 러트닉 장관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렇게 한미가 상호 관심 사안을 중심으로 의견 접근을 이뤄가며 협상 분위기가 달아오른 상황에서 25∼29일 트럼프 대통령의 스코틀랜드 방문 일정으로 인해 이 같은 흐름이 끊기는 상황이 됐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 회의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한미 협상 주역인 러트닉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등이 모두 트럼프 대통령 수행과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을 위해 유럽으로 떠나게 되면서 한국 협상단만 미국에 남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이에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협상 불씨를 살리고 긍정적인 협상 분위기를 이어가기 위해 스코틀랜드행을 결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미국 측과 사전 협의를 거쳐 스코틀랜드에서 추가 협상을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강유정 대변인 명의 서면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현지'에 있는 우리 협상단으로부터 한미 통상 협의 현황을 보고 받고 관계부처 장관, 주요 참모들과 함께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이 있는 곳을 구체적으로 거론하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해 강 대변인은 "이번 협의는 지난 주말 워싱턴 DC와 뉴욕에서 진행된 두 차례의 한미 상무장관 회담에서 제안된 조선업 협력 등을 포함한 여러 이슈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켜 나가기 위해 양국 합의로 이뤄진 것"이라고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 협상단은 워싱턴 DC와 뉴욕 회담에서 미국 측에 제안한 '마스가' 프로젝트를 비롯해 합의 도출을 위해 추가 수정 제안을 거듭하면서 이견을 좁히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이 앞으로도 해외에 체류하면서 러트닉 장관과 그리어 대표를 접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두 사람은 스코틀랜드와 미국 등 협상이 가능한 장소라면 어디서나 본국과 소통하면서 미국 측과 관세 협상 최종 타결을 위한 협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여 8월 1일로 예고된 협상 시한 전까지 구체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아울러 관세 협상 최종 결정권자인 트럼프 대통령도 스코틀랜드에 머무르고 있는 만큼, 현지에서 장관급 합의가 이뤄진다면 트럼프 대통령이 마지막 결단을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렇지 못하더라도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오는 31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1 대 1 통상 협의를 갖고, 조현 외무부 장관도 이번 주 방미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면담하는 등 미국에서 막판 전방위 협상이 이뤄질 예정이어서 협상 시한을 넘기지 않고 한미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난 날씬한데 왜 혈압·혈당·콜레스테롤이 높을까? 그 답은 [▢▢▢]에 있습니다 2025.07.28
많은 분들이 “난 살 안 쪘는데?”라며 건강에 자신감을 보이면서도,속으로는 이렇게 생각합니다.“몸무게는 정상이지만, 왜 이렇게 살..
머스크 "삼성 계약 165억달러는 최소액…실제는 몇 배 더 될 듯" 2025.07.28
삼성전자와 165억달러(약 22조8천억원) 규모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계약을 맺은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실제 생산 규모는 훨씬 더 클..
한미 통상당국, 미국서 스코틀랜드까지 옮겨 '막판 협상' 2025.07.28
한미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에 머물던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추가 협상을 위해 미국 협상단 일정에 맞춰 유럽을 찾은 것으로 확인됐다...
美·EU 관세 15% 합의…트럼프 "美에너지 7500억불 구매 약속" 2025.07.27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유럽연합(EU)과 미국이 27일(현지시간) EU산 상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무역협정을 타결했다고 AFP, 로이터..
콜드플레이 콘서트 '불륜 생중계' 사건에 기네스 팰트로 등장 2025.07.27
최근 전세계 인터넷을 들썩이고 이제는 네티즌의 관심에서 멀어지는 듯하던 '콜드플레이 콘서트 불륜 사건'에 의외의 등장인물이 새롭게 나타났다.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