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러트닉, 대미투자 3500억달러에서 더 늘리라고 한국 압박"
韓, '백악관이 골대 움직이고 있다'고 지적…산업부, 증액 요구 받은바 없어
??????  2025-09-26, 19:35:29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차대운 기자 =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한국과의 무역협상에서 한국 측에 대미 투자 금액을 7월 구두 합의에 따른 3천500억 달러(493조원)에서 더 늘리라고 압박하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양측 협상이 불안한 상태로 진행되고 있다며, 러트닉 장관이 협상에서 이런 강경 입장을 취하고 일부 한국 측 관계자들은 비공개 자리에서 백악관이 '골대를 움직이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고 전했다.

WSJ에 따르면 러트닉 장관은 비공개 자리에서 한국 관계자들에게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의 대미 투자 자금 중 대출이 아닌 현금으로 제공되는 비율이 더 높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또 최근 한국 측 관계자들과의 대화에서 한국의 대미 투자액을 약간 더 증액해 일본의 대미 투자액인 5천500억 달러(775조 원)에 조금 더 근접하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일본 측이 서명한 대미 투자합의와 유사한 조건들을 한국이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다만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대변인은 러트닉 장관이 대미 투자액을 5천500억달러로 늘리라고 요구한 적은 없다고 부인했다고 WSJ은 전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도 이와 관련해 "외신 보도에 나온 것처럼 미국 측으로부터 대미 투자 금액을 더 늘리라는 요구를 받은 바 없다"며 "WSJ 측에도 이 같은 입장을 설명한 바 있다"고 말했다.

WSJ은 트럼프 행정부와 한국과의 무역합의가 어떻게 이뤄지는지가 미국이 수십개 국가들과 진행 중인 광범위한 관세 협상을 평가하는 핵심 바로미터라고 지적했다.

한국과의 협상을 포함해 이런 협상들 중 상당수는 서면으로 합의돼 서명된 것이 아니라 구두 합의만 체결된 상태에서 세부 조율이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미국과 일부 핵심 교역 상대국 사이에 합의를 마무리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해 이견이 남아 있다.

한 백악관 관계자는 WSJ에 미국이 한국과의 무역합의에 미세조정을 진행중이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 사항 중 이미 합의된 내용에서 "드라마틱하게 벗어난 것"는 없다고 말했다.

양국이 7월에 합의한 무역합의 틀의 세부사항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WSJ은 이달 초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이 조지아주에서 대규모 단속으로 한국 국적자 300여명을 체포한 사건으로 한국 내 여론이 악화되면서 미국 측에 지나친 양보를 해서는 안 된다는 정치적 압력이 한국에서 더욱 강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WSJ은 만약 미국이 한국과 협상을 타결할 수 있다면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다른 나라들과 협상을 타결할 수 있는 모멘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만약 미국이 한국과의 협상 타결을 위해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면 교역 상대국들에게는 서둘러 협상을 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줄어들 것이라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성범죄자 엡스타인 문건에 머스크·英앤드루 왕자 등장 2025.09.27
미국에서 희대의 성범죄자로 지목된 고(故) 제프리 엡스타인과 관련해 의회에서 공개된 새 문건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영국 앤드루 왕자 등의 이..
유발 하라리 "러시아 우세 주장하지만…실제론 우크라 승리 중" 2025.09.27
베스트셀러 '사피엔스' 저자인 역사가 유발 하라리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판세를 두고 "승리해온 쪽은 우세를 선전하는 러시아가 아닌 우크..
WSJ "러트닉, 대미투자 3500억달러에서 더 늘리라고 한국 압박" 2025.09.26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한국과의 무역협상에서 한국 측에 대미 투자 금액을 7월 구두 합의에 따른 3천500억 달러(493조원)에서 더 늘리라고 압박하고 있..
달러-원, 美 물가 예상 부합에 상승폭 축소…1,409.70원 마감 2025.09.26
(뉴욕=연합뉴스) 최진우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달러-원 환율이 야간 거래서 상승 폭을 다소 축소하며 1,410원을 약간 밑돈 채 마감했다.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시..
미 8월 PCE 물가 전년대비 2.7%↑…1년4개월만에 최대 2025.09.26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미 중앙은행이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8월 들어 1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문가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