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케네디 보건장관도 자주 먹는 김치"…발효음식 돌풍 조명
??????  2025-11-12, 11:47:27 
6일 서울 송파구 마천동주민센터에서 자원봉사자들이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를 하고 있다. 이날 담근 김치 700상자는 관내 복지시설과 저소득 가정에 전달한다.
6일 서울 송파구 마천동주민센터에서 자원봉사자들이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를 하고 있다. 이날 담근 김치 700상자는 관내 복지시설과 저소득 가정에 전달한다.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김치(Kimchi)와 사우어크라우트(Sauerkraut), 발효 견과류까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한국의 김치를 포함한 발효식품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고 1일(현지시간)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조명했다.

WSJ은 김치는 물론이고 우리에게는 독일식 김치로 알려진 사우어크라우트 등 그간 식탁의 조연에 불과했던 발효식품이 전성기를 맞았다고 소개했다.

여러 연구에서 발효 식품이 건강에 좋고, 장내 미생물 기능을 개선하며 염증 지표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되자 인기를 끌고 있다는 것이다.

발효식품의 인기는 수치로도 확인된다.

시장조사업체 닐슨IQ에 따르면 지난달 4일까지 최근 1년간 발효 식품과 식재료 매출은 611억7천만달러(89조3천억원)에 달해 4년 전보다 27% 증가했다.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도 발효식품의 팬이라고 WSJ은 전했다.

그는 지난 8월 한 방송에 출연해 자신이 고기와 더불어 요구르트, 코울슬로와 김치 등 발효 식품을 주로 먹는다고 말한 바 있다.

발효식품의 인기에 발효 기술을 도입해 신제품을 출시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기업들은 더 많은 소비자를 공략하기 위해 덜 매운 김치와 발효 견과류, 발효 양배추로 만든 과자, 발효 핫소스, 발효 피클과 레모네이드를 섞은 주스 등을 내놨다.

모든 사람이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의 강하고 톡 쏘는 맛을 좋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부 제조업체들은 더 순한 맛의 발효 식품을 선보이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미국 내 대형 유통업체인 월마트와 퍼블릭스에 제품을 납품하는 클리블랜드 키친은 지난 2021년 젓갈을 사용하지 않은 '클래식 김치'를, 2022년에는 덜 매운 맛의 '마일드 김치'를 출시했다.

이 업체는 김치에 호기심이 있는 사람들을 겨냥했다고 밝혔다.

발효식품의 인기는 역시 무엇보다 건강상의 이점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 2021년 스탠퍼드 대학 연구진이 내놓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요구르트와 김치, 케피르 등 발효 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들의 경우 장내 미생물이 다양해지고 특정 염증 지표 수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애플, 팀 쿡 내년 하차 가능성 대비해 CEO 승계계획 본격화" 2025.11.15
애플이 팀 쿡 최고경영자(CEO)가 이르면 내년 자리에서 물러날 것을 대비해 승계 계획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이 밝힌 셧다운 협상 내막…슈머는 알고 있었다 2025.11.13
정부 역사상 가장 긴 셧다운의 전환점은 민주당 중도성향의 의원들이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그동안 협상의 내막을 보도하면서 이들이 셧다운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존 튠..
WSJ "케네디 보건장관도 자주 먹는 김치"…발효음식 돌풍 조명 2025.11.12
김치(Kimchi)와 사우어크라우트(Sauerkraut), 발효 견과류까지.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한국의 김치를 포함한 발효식품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고 1..
느닷없이 '50년 만기 모기지' 꺼내든 트럼프…참모들도 화들짝 2025.11.1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참모들과 일언반구 상의도 없이 50년 만기의 초장기 모기지(주택담보대출) 정책을 불쑥 꺼내 들어 논란이 일고 있다.이 정책은..
아무것도 얻지못한 민주당의 필리버스터…셧다운 종료합의 2025.11.10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미국의 여야 대치 속에 40일 이상 이어지고 있는 연방정부 셧다운(일부 기능정지) 사태가 민주당 중도파 의원들의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