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SJ "AI 기술기업 채권 발행 홍수에 월가 긴장" |
| ?????? 2025-11-24, 07:42:31 |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 인공지능(AI) 기술 기업들이 인프라 확충을 위해 발행한 채권 홍수에 월가가 적응하느라 긴장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9월 이후 아마존, 구글 모기업 알파벳,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 오라클 등 하이퍼스케일러(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 4개사가 모두 900억달러(약 133조원)에 가까운 투자등급 채권을 발행했다. 이들 4개사가 이전 40개월 동안 발행한 전체 물량을 넘는 규모다. AI 데이터센터 개발업체인 테라울트와 사이퍼 마이닝은 70억달러 넘는 투기등급 채권을 판매했다. 기업들이 계획했던 물량을 모두 판매할 수 있었지만, 일부는 예상보다 높은 금리를 적용해야 했다. WSJ은 발행 이후 이들 채권의 금리가 상승했는데 이는 악화하는 신용 여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다만 AI 기술기업 채권에 가해진 압력이 업종 전반에 걸쳐 똑같지는 않았다. 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는 매 분기 벌어들인 막대한 이익으로 AI 투자 재원 대부분을 자체 조달할 수 있는 능력 덕분에 큰 충격을 피할 수 있었다. 반면 보유 현금이 상대적으로 적고,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의 거대한 야심에 비춰보면 추가 자금 조달이 필요해 보이는 메타는 10월 말 300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할 때 이미 거래되는 기존 자사 채권보다 현저히 높은 금리를 제시해야 했다. 메타가 이때 발행한 여러 만기의 채권 중 일부는 유통 시장에서 금리가 더 올라갔다. AA 등급인 이들 채권의 금리는 신용등급이 한 단계 낮은 IBM의 A 등급 채권 금리와 거의 비슷하다.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오라클의 상황은 더 어렵다. 투기등급 바로 위 두 단계의 신용등급에 해당하는 오라클의 채권은 이제 투자등급 기술 기업들 채권 가운데 금리가 가장 높다. 주요 AI 클라우드 제공업체 중 유일하게 투기등급인 코어위브가 지난 7월 발행한 2031년 만기 채권은 최근 달러당 92센트 수준에서 거래됐다. 이는 약 11%의 금리에 해당하며 신용등급 맨 아래 등급인 CCC 등급 채권 평균 금리와 같은 수준이다. WSJ은 또한 AI 기술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에 불안감을 느끼던 주식 투자자들 역시 이들 기술 기업 채권의 약세를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몇 주간 오라클 신용부도스와프(CDS)는 거래 증가 속에서 가격이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다. CDS 가격은 부도 위험이 커질수록 오른다. 오라클 CDS에 대한 관심이 오라클 주가가 이달 24% 하락한 데 일조했다는 분석이 나온다고 WSJ은 전했다. 야누스 헨더슨 인베스터스의 글로벌 신용 책임자 존 로이드는 "지금은 시장들이 서로 연결돼 있다"며 "만일 AI 주가가 하락하면 채권 시장도 좋은 성과를 내기 어렵다. 그 반대 역시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
![]() |
의견목록 [의견수 : 0]
|
![]() |
|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 |
|
|
프리미엄 광고
161 Harvard Avenue, Suite 4D, Allston, MA 02134
Tel. 617-254-4654 | Fax. 617-254-4210 |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C) 2006-2018 by BostonKorea.com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and Managed by Loopivot.com









의견목록 [의견수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