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란티어 시총 395조원…美 기술 기업 순위 10위권 진입 |
관세 불확실성·경기 둔화 우려에도 올해 주가 58% 급등 시총 대비 매출·이익 적어…PER 등 평가가치 지표 크게 높아 |
?????? 2025-05-09, 17:28:24 |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가 미국 기술 기업 시총 순위 10위권에 진입했다. 8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팔란티어 주가는 전날보다 7.85% 오른 119.1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팔란티어의 시총은 2천810억 달러(394조9천455억원)로 불어나며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 세일즈포스(2천680억 달러)를 제치고 기술 기업 시총 순위 10위에 올랐다. 기술 기업 시총 1위는 마이크로소프트(3조2천560억 달러)이며, 애플(2조9천490억 달러)과 엔비디아(2조8천630억 달러)가 그 뒤를 잇고 있다. 팔란티어 시총은 삼성전자(2천594억 달러)도 넘는 수준이다. 팔란티어의 이 같은 급부상은 주가가 지난 1년간 5배 이상 폭등한 데 따른 것이다. 올해에만 주가는 58% 급등해 올해 초에는 시스코(2천375억 달러)와 IBM(2천361억 달러)도 앞질렀다. 올해 들어 다른 기술주들이 관세 불확실성과 경기 둔화 우려로 고전하는 것과 달리 팔란티어 주가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2003년 페이팔 창업자인 피터 틸과 최고경영자(CEO) 알렉스 카프 등이 공동 창업한 팔란티어는 정부 사업 수주가 크게 증가하면서 실적을 끌어올리고 있다. 지난 1분기 정부 부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5% 증가한 3억7천300만 달러에 달했다. 특히, 미 육군의 AI 기반 시스템 구축을 위한 1억7천800만 달러에 달하는 계약도 여기에 포함됐다. 다만, 시총 기준으로는 10위이지만 매출과 이익 면에서는 다른 기업들에 비해 크게 적다. 세일즈포스의 경우 지난 1년간 매출이 팔란티어보다 10배 이상 많다. 이 때문에 팔란티어의 주가수익비율(PER) 등 밸류에이션 지표는 다른 빅테크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준이다. CNBC에 따르면 현재 다른 상위 10개 기술 기업의 과거 수익 기준 평균 PER과 향후 수익 기준 PER은 각각 58배와 37.5배이지만, 팔란티어는 무려 각각 520배와 200배에 달한다. 매출 대비 시총 비율도 10개 기업의 평균은 10.2배이지만, 팔란티어는 약 90배 수준이다. 이에 투자은행 제프리스의 분석가 브렌트 틸은 "펀더멘털은 살아있지만, 밸류에이션(평가가치)은 지나치게 높다"며 매도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1분기 실적 발표 다음날인 지난 6일 주가는 12% 넘게 급락하는 등 투자자 불안 요소도 남아 있다. 매출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해외 민간 부문의 성장 둔화가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높아진 성장 기대감으로 인해 기대치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상황이 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지적했다. |
![]() |
![]() |
![]() |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 |
|


161 Harvard Avenue, Suite 4D, Allston, MA 02134
Tel. 617-254-4654 | Fax. 617-254-4210 |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C) 2006-2018 by BostonKorea.com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and Managed by Loopivo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