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빼려다가 머리카락이 빠졌다? 유명 비만약의 충격적인 부작용!
??????  2025-09-01, 11:22:15 
GLP-1 계열 약물(웨고비, 젭바운드)을 시작한 뒤 머리카락 빠짐을 경험하는 분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임상시험에서도 위고비 약 3-6%, 젭바운드 약 5-8% 사용자에서 탈모가 보고됐는데요. 원인 감별부터 필요한 검사, 치료 방법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1. 약 때문일까? 많은 분들이 겪는 고민
“체중은 잘 빠지는데 머리카락이 한 움큼씩 빠져요.”
빠른 체중 감량 자체가 머리카락 성장 주기에 영향을 주어 휴지기 탈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물 효과만을 탓하기 전에 영양 결핍, 갑상선 문제, 호르몬 변화 등 다른 원인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2. 필요한 검사: 우선순위 검사부터
Obesity Medicine Association에서는 GLP-1 계열 약물을 복용 중 탈모가 발생한 환자에서 다음 항목을 우선적으로 검사할 것을 권장합니다.
철분 및 저장철 → Serum iron, Ferritin
비타민 D → 25(OH)D
아연 → Plasma zinc
갑상선 기능 → TSH
급격한 체중 변화는 특히 철분, 아연, 비타민 D 결핍과 관련이 많기 때문에 이 네 가지는 기본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3. 2차 검사: 필요할 때만 선택적으로
만약 위의 1차 검사 결과가 모두 정상인데도 탈모가 계속된다면, 증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음 항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 B12, 비타민 B7, 엽산 
셀레늄(Selenium), 구리(Copper)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남성호르몬 프로필 
프로락틴(Prolactin)
코르티솔(Cortisol) 
중요: 2차 검사는 무조건 모두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증상, 병력, 신체검사 결과에 따라 맞춤형으로 진행합니다.

4. 모든 검사가 정상이면?
모든 원인을 평가했음에도 탈모가 지속된다면, 치료적 접근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미녹시딜 (Minoxidil)
최근에는 저용량 경구 미녹시딜도 활용 증가
피나스테리드·두타스테리드 (Finasteride/Dutasteride)
남성형 탈모에서 더 효과적
스피로노락톤 (Spironolactone)
여성형 탈모에서 유용한 항안드로겐제
보조 치료
PRP(자가혈소판 주사), 저출력 레이저 치료, 메조테라피 등

5. 마무리 조언
웨고비·젭바운드 복용 중 탈모가 발생하더라도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약물 때문이라고 단정 짓기보다는, 영양 상태, 호르몬, 대사 변화 등 다각도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사를 통해 원인을 명확히 하고 필요할 경우 맞춤형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미국 내과 / 비만 전문의 이용현
Charles River Medical Associates - Obesity Clinic
61 Lincoln Street, Suite 301, Framingham, MA 01702
508-820-8332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한담객설閑談客說: 양약고구良藥苦口 2025.09.01
양약良藥이란 말이 있다. 몸에 좋은 약이라는 뜻이다. 한약韓藥이 아닌 양약洋藥이라 할 수도 있는데. 헷갈릴 수도 있겠다. 이어지는 사자성어이다. 양약고구良藥苦口...
돌연사 90% 원인 ‘부정맥’ 2025.09.01
이번 주 휴람 의료정보에서는 20~30대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돌연사의 원인인 부정맥에 대해서 휴람 의료네트워크 H+양지병원 심장내과 최 규영 전문의의 도움을..
살 빼려다가 머리카락이 빠졌다? 유명 비만약의 충격적인 부작용! 2025.09.01
GLP-1 계열 약물(웨고비, 젭바운드)을 시작한 뒤 머리카락 빠짐을 경험하는 분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임상시험에서도 위고비 약 3-6%, 젭바운드 약 5-8..
이런 사람과 만나라 2025.08.25
“내일을 이야기하는 사람과 만나라반드시 성공할 것이다.확신에 찬 말을 하는 사람과 만나라기준 잡힌 인생을 살 것이다.부지런히 일하는 사람과 만나라풍요롭..
한담객설閑談客說: 거짓말에 관대한 사회 2025.08.25
뇌피셜. 자주 듣는 말은 아니다. 점잖게 쓸수 있는 말은 더욱 아니다. 인터넷에서 찾았다. 요즈음 한국에서 유행하는 말인데 뇌와 오피셜의 합성어란다. &ls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