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총생산량과 주식시장
영민 엄마와 함께하는 재정계획 (824)
??????  2025-08-18, 11:02:54 
2025년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은 3.0% 성장했다. 경제가 확연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주식 투자에 망설이는 사람들이 많다. 이는 체감 경기가 여전히 나쁘게 느껴지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러나 경제 성장은 곧 부의 축적 기회를 의미하며, 이를 잘 활용하는 개인 투자자도 점점 늘고 있다. 그렇다면 미국 GDP와 주식시장은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 보다 넓은 시각에서 살펴보자.

미국이 독립한 지 249년이 지났다. 당시에는 국민 자산에 대한 통계조차 존재하지 않았을 만큼 자산 수준이 미미했다. 하지만 현재 미국 국민 전체의 순자산은 약 180조 달러($180 trillion)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순자산이란 주택, 주식, 채권, 자동차, 현금 등 모든 자산에서 부채(주택 담보 대출, 신용카드 부채, 학자금 대출, 자동차 할부 등)를 뺀 순수한 자산을 말한다.

1776년 독립 당시 국민의 약 90%가 농업에 종사했지만, 현재는 1%도 되지 않는다. 그런데도 미국은 식량 자급은 물론 농산물 수출국으로 자리 잡았다. 어떻게 이런 변화가 가능했을까? 답은 분명하다. 바로 기술 혁신과 생산성 향상(Innovation & Productivity) 덕분이다. 과거 농업에 종사하던 다수는 이제 기술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산업에 참여하고 있다.

미국 GDP는 1948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3.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기업의 이익은 연평균 약 3%, 투자자에게 돌아가는 배당금은 평균 2.5%씩 증가했다. 기업들은 기술 혁신을 통해 더 낮은 비용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수익을 창출한다. 이익은 배당금, 자사주 매입, 그리고 재투자를 통해 투자자에게 돌아가며, 그 결과 기업 가치는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일각에서는 지난 15년간의 주식시장 상승을 근거로 조정장이 곧 올 것이라고 말한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이런 경고가 실제 투자 수익에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2010년 초부터 2024년 말까지 미국 주식시장은 400% 이상 상승했다. 10만 달러를 투자한 사람은 50만 달러 이상을 손에 넣었다. 시장의 단기 흐름을 예측하기보다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투자한 이들은 상당한 수익을 얻은 반면, 투자를 망설인 사람들은 그 기회를 놓친 셈이다.

일반적으로 GDP가 성장하면 S&P 500에 속한 기업들의 매출과 이익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역사적으로 GDP가 1% 성장할 때 기업 이익은 약 2.5~3%씩 더 빠르게 증가해 왔다. 물론 주식시장은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항상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성장해 왔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수많은 기업 중 누군가는 항상 수익을 내며, 투자자들은 그 수익을 기대하며 시장에 계속 자금을 투입하기 때문이다.

모든 투자에는 ‘위험(Risk)’이 따르며, 피할 수 없는 하락도 존재한다. 따라서 하락장이 왔을 때에도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대해 워런 버핏의 오랜 동업자 찰리 멍거는 이렇게 말했다. "한 세기에 두세 번 주가가 50% 하락하는 상황을 침착하게 견디지 못한다면, 당신은 기업의 수익 창출 결과를 누릴 자격이 없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피델리티(Fidelity)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401(k) 백만장자 수는 약 53만 7천 명으로, 2023년 말의 42만 2천 명 대비 27% 증가했다. 기업에 투자하지 않고 월급이나 자영업 수입만으로는 자산 형성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워런 버핏은 이렇게 말했다.
“잠자는 동안에도 돈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죽을 때까지 일하게 될 것이다.”
(If you don’t find a way to make money while you sleep, you will work until you die.)

내일, 다음 달, 내년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팬데믹처럼 전혀 예상치 못한 위기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장기적으로 투자해 온 사람만이 그 대가를 누릴 수 있다. 결국 투자는, 미래를 향한 믿음과 인내심에 주어지는 보상이다.



이명덕, Ph.D., Financial Planner
 &Registered Investment Adviser (RIA)
Copyrighted, 영민엄마와 함께하는 재정계획 
All rights reserved 
www.billionsfinance.com  
 248-974-4212


작성자
이명덕 칼럼니스트    기사 더보기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실업률 상승에 매사추세츠 실업급여 기금 2027년 고갈 전망 2025.08.18
매사추세츠 실업보험(UI) 기금이 오는 2027년 말 고갈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주 노동인력개발청(Executive Office of Labor and Wo..
트럼프 "3자회담 빨리 추진…2주 안에 해법 여부 알 수 있을 것" 2025.08.18
(워싱턴=연합뉴스) 박성민 홍정규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8일(현재시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평화 협정을 위해 현재 전선을 기준으로 한 영토..
국민 총생산량과 주식시장 2025.08.18
2025년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은 3.0% 성장했다. 경제가 확연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주식 투자에 망설이는 사람들이 많다. 이..
지금은 바이어스 마켓으로 바뀌었나? 2025.08.18
내가 너무나도 많이 받는 질문이다. 계속 올라가는 집값 때문에 집값이 떨어지기를 기대하며 질문하는 분들이 너무나도 많다.집이 나오면 오퍼(Offer)가 10개씩..
광복 80주년과 그리고 기독교의 역할 2025.08.18
2025년 8월 15일은 광복 80주년을 맞는 날이다. 까마득한 옛날 이야기처럼 들려지는 ‘대한독립 만세! 광복을 외치는 환호와 환희의 소리&rsquo..